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뉴스
"
위치
"(으)로 총 5,398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가 분석한 '다누리' 영상...달 착륙지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5.08
사진은 지구에서 반사된 빛을 이용해 그 모습이 담겼다. 지구가 달의 지평선 위로 35도
위치
했을 때 봉우리를 촬영한 이 사진에선 다양한 종류의 암석이 확인됐다 ... ...
행성 잡아먹는 별 관측...50억년 후 지구의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5.08
연구팀은 원인을 밝히기 위해 관측자료 수집에 나섰다. 우선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
한 팔로마천문대의 광역천제 관측장비인 ‘ZTF’를 활용했다. ZTF는 광시야 카메라로 이틀마다 전체 밤하늘을 이미지화 할 수 있다. 폭발하는 별과 같이 빠르게 변하는 빛을 포착한다. 분석에 따르면 폭발로 10일 ... ...
첫 실전 발사...누리호 발사까지 남은 일정은
동아사이언스
l
2023.05.07
40m의 X-대역 영상레이다(SAR)를 활용한다. SAR 외에 상변환물질 적용 열제어장치와, 위성
위치
확인시스템(GPS)·갈릴레오 복합항법 수신기, 태양전지배열기 등이 탑재된다. 임무 수명은 2년으로 고도 550km에서 임무를 수행한다. 큐브위성은 7기가 실린다. 큐브위성은 수십 ㎏에서 작게는 수 ㎏ 크기의 ... ...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홍릉에서 대덕, 다시 전국으로
과학동아
l
2023.05.06
있습니다. 연구기관들이 대덕특구에 모여있긴 하지만 폐쇄적인 구획 부지 내에 각각
위치
해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대전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대덕특구의 향후 50년은 어떻게 흘러갈까요. 대덕특구가 출범 10 ... ...
GIST·칼텍, 새로운 우울증 치료 후보물질 공동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5.04
크게 낮출 수 있음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약물이 결합한 상태에서 수용체의 6번 나선
위치
에 따라 b-아레스틴과의 상호작용이 크게 달라지는 점에 착안했다. KOR은 원래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제 약물을 사용하면 3번과 6번 나선의 거리가 멀어진다. 연구팀은 이 거리를 더욱 극대화시켜 b ... ...
[오늘과학] 콘도르가 시체 먹는 이유...2200년전 배설물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5.03
사실을 알아냈다. 둥지가
위치
한 절벽 주변은 안데스 산맥의 남부 화산 지대 주변에
위치
해 있는데 기원전 300년 경 이곳에서 4번에 화산 폭발이 발발했다. 이후 몇 세기 동안 3번의 화산 분화가 일어났다. 수 차례 화산 폭발로 인해 이곳은 ... ...
[오늘과학] 역대급 규모 초거대질량 블랙홀, 애니메이션으로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3.05.02
있어 오랫동안 직접 관측되지 못했다. 2019년 사건지평선망원경(EHT) 연구팀이 8개 대륙에
위치
한 전파망원경을 통해 블랙홀을 직접 관측한 것이 블랙홀을 직접 촬영한 첫 사례였다. 이번에 애니메이션으로 구현된 관측 사례는 허블우주망원경을 사용해 블랙홀의 존재를 일부 직접적으로 확인한 ... ...
물을 동력으로 쓰는 로켓으로 지구·달 왕복...美 스타트업의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3.05.01
마일’ 서비스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도 2000km 이하 지구 저궤도에
위치
한 위성을 고도 약 3만6000km의 정지궤도나 지구와 달 사이 공간을 뜻하는 ‘시스루나’ 공간으로 배달해준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우주 쓰레기 제거에도 아르고넛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제임스웹, 가장 오래된 아기은하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4.30
분광학적 분석을 통해 7개의 점이 모두 은하이며 지구로부터 동일하게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
해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각 은하의 크기는 지름 40만광년(1광년은 약 9조4600억km)으로 조사됐다. 지구와 가장 가까운 은하인 안드르메다은하까지 거리의 약 6분의 1을 차지하는 크기인 셈이다. 이번에 ... ...
신소재 '중고 신인' 강유전체...신경모방 컴퓨팅 미래 밝힌다
과학동아
l
2023.04.29
가장 기본적인 소자인 트랜지스터 소자와 구조가 동일한데, 트랜지스터 고유의 스
위치
기능에 더해 강유전체로 인한 메모리 기능까지 동시에 할 수 있습니다. 트랜지스터 겸 메모리로서 PIM 기술에 사용하기 적합하죠. 또한 잘 제어된 전기 신호를 활용하면 여러 분극 상태를 구현할 수도 있어서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