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부
높은 자리
상좌
윗부분
상란
d라이브러리
"
상단
"(으)로 총 118건 검색되었습니다.
렌즈지름 10m벽 돌파하는 세계 최대 망원경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203
안으로 크게 네가지 부류의 망원경이 제안됐다.그 내용은 (그림1)에 나와 있다. 좌측
상단
은 반사면을 가진 비스듬한 벽면이 있으며 망원경은 회전하는 거대한 판에 고정돼 있다. 그 위를 관측용 곤돌라가 움직이며, 관측대상을 찾는다. 좌측하단의 것은 전파간섭계와 같이 각자의 망원경을 여러대 ... ...
공전의 히트 기록한 한글 워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112
기능으로는 머리말 꼬리말 각주 그림삽입기능 등이 있다. 머리말과 꼬리말은 각 페이지
상단
이나 하단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내용을 지정하는 것으로서, 문서의 형식을 맞추는 데는 기본적인 기능이다. 각주 기능은 학술 논문과 같이 각주가 많이 쓰이는 분야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번호가 ... ...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09
행성의 모습은 볼 수 없었다. 엷은 구름때문에 코로나의 휘선은 볼 수 없었고 흑태양의
상단
부와 하단부에서 붉은 홍염을 볼 수 있었다. 개기식 때 구름은 사진관측을 방해해 코로나의 휘선이 구름에 왜곡당하고 가려져 정상 코로나의 모습을 촬영할 수 없었다. 그러나 다행하게도 내부코로나와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07
대신 반달을 그려서도 안 된다. 그리고 금성이 지는 태양의 바로 위쪽이 아니고 좌측
상단
에 있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에서 볼 때는 황도가 경사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내행성은 태양과 지구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달처럼 위상 변화를 한다(그림5). 연수회 때 천체 망원경을 ... ...
우주로 향한 차세대 항공기
과학동아
l
199106
Hypersonic Technology Experimental Vehicle)를 유럽공동으로 개발해 2000년경에 비행시험할 계획이며
상단
비행체 개발에는 에르메스 우주왕복선에 사용한 기술을 활용할 예정이다.젱거는 마하5 내지 7까지만 공기흡입식 엔진을 사용하는 2단식 궤도진입 개념이기 때문에 미국우주항공기(NASP)의 가변사이클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05
위를 구르다가 날아갈 때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이렇게 비상한 타구가 왼쪽 관중석
상단
에 총알처럼 꽂히면 관중들은 야구의 묘미를 한껏 만끽하게 된다. 야구의 꽃이라고 일컬어지는 홈런은 관중들을 9회말까지 붙잡아 둘 뿐더러 승부를 단숨에 갈라놓기도 한다.야구 역사상 가장 긴 홈런을 날린 ... ...
주변기기 활용법/ 디스켓
과학동아
l
199012
하나 있고, 그 옆에는 인덱스 홀이라는 처음을 알리는 작은 구멍이 뚫어져 있다.오른쪽
상단
에 있는 홈은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으로 쓰기방지홈(write protect notch)이라고 하며 만일 테이프 등으로 이 부분을 막아 놓으면 아무 것도 기록할 수 없게 된다.디스크는 정보를 ... ...
수컷은 훨훨, 암컷은 자루 속에
과학동아
l
199008
낮아 체력이 떨어져서 죽게될 것이다.남부지방의 왕도롱이벌레는 겨울동안 도롱이의
상단
쪽에 머리를 두고 동면한다. 5월이 되어 따뜻한 기온이 계속되면 도롱이의 하단 구멍쪽으로 머리를 둔다. 그 위치에서 번데기로 되기 전의 탈피가 전행된다. 유충에서 탈피된 번데기는 굵은 몸통에 몸마디가 ... ...
하늘이 지구를 양육한다
과학동아
l
199008
제9궁에 해당되는 궁수자리가 바로 그것이다.전갈자리는 S자형의 별자리로 중심
상단
에 전갈의 심장에 해당되는 1등성의 붉은별 안타레스(Antares, '화성에 대항하는 자'란 뜻)가 있다. 이 별은 황도에 가깝기 때문에 2년에 한번씩 붉은 화성이 근처를 지나간다. 옛날 사람들은 안타레스의 붉은 기운을 ... ...
로터스로 작성하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9007
한 칸 올라가면 셀 포인터를 움직여 범위를 지정하는 Point mode로 바뀌게 되며(화면의 우측
상단
에 나타난다), 줄이 그어진 셀이 범위의 시작위치로 지정된다. 범위의 시작위치를 성공적으로 찾아냈으므로 마침표(.)를 찍는다. 문제는 범위가 끝나는 위치를 찾는 방법이다.여기에서 우리는 이 합계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