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상단"(으)로 총 3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미 공동개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첫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2025.04.02
- 보라색-파랑색으로 표현했고, 긴 파장은 초록색-붉은색으로 나타냈다. 보라색 이미지 상단의 밝은 선은 지구 대기 헬륨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초록색과 파란색 이미지는 원본을 확대한 이미지다. 스피어엑스가 어둡고 먼 은하를 관측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미지를 통해 우주 ... ...
- 밤하늘 '나선형 무늬' 목격담 잇따라…스페이스X 로켓 때문 동아사이언스 l2025.03.26
- 우주군 기지에서 24일 오후 1시 48분(미 동부시각 기준) 발사됐다. 발사된 팰컨9의 상단 추진체는 위성을 지구 궤도에 배치하고 난 뒤 회전하며 낙하했다. 이때 남은 연료가 방출됐다. 전문가들은 방출된 연료가 높은 고도의 찬공기와 만나면 얼어붙으며 나선형의 얼음이 형성된다고 설명했다. 이 ... ...
- [과기원NOW] 물·기름으로 1분만에 박막 제작하는 공정 기술 外동아사이언스 l2025.03.17
- 오른쪽 상단부터 시계 방향으로) 구강희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서승환·허지은·이주영 연구원. UNIST 제공. ■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 박유진 기계공학과 통합과정생 연구팀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인 메타표면의 ... ...
- 15분이면 충전 끝나는 리튬전지동아사이언스 l2025.03.17
- 전해질을 이용해 만든 리튬이온전지는 15분 고속 충전 300회 사이클에서도 음극 상단부에 비가역성 리튬 전착 없이 94.2%의 매우 높은 용량 유지율을 보였다. 연구팀은 전해질 조성에 따라 달라지는 리튬이온의 전도도와 음극계면층에서의 리튬이온 이동을 세계 최초로 영상화했다. 이를 통해 ... ...
- 수직이착륙·재점화·정밀제어…재사용 차세대발사체 필수 기술동아사이언스 l2025.03.10
- 로켓 회수 기술, 내구성 향상 등 고도의 기술력이 집약돼야 한다. 우주 발사체는 통상 상단의 탑재체와 탑재체 아래의 엔진으로 구성된다. 발사체에 실리는 위성이나 탐사선, 착륙선, 우주망원경 등이 탑재체다. 발사체를 여러 번 사용하려면 우선 한번 사용한 발사체의 메인 엔진을 원하는 위치로 ... ...
- 미뤄진 블루오리진 재활용 발사체 '뉴글렌' 첫 발사동아사이언스 l2025.01.14
- 착륙시킬 계획이었다. 이렇게 착륙시킨 부스터는 25회 이상 재사용할 수 있다. 뉴글렌 상단에 실린 우주선인 ‘블루 링’ 모형은 지구 궤도 위로 올리게 된다. 블루링 모형이 궤도 안착에 성공하면 향후 뉴글렌은 인공위성이나 우주비행사 등을 실어 나르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뉴글렌은 ... ...
- 신개념 생체형틀법 '캠바이오' 개발…다양한 생체 나노구조체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25.01.10
- KAIST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교수, 송대현 박사과정생, 장재범 교수. 우측 상단부터 송창우 연구원, 조승희 연구원.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이전에 활용할 수 없었던 생체 구조체를 활용해 생체형틀법을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넓히는 데 성공했다. 생체형틀법은 바이러스부터 우리의 몸을 ... ...
- 국립암센터 직원 피폭량 기준 미만…과태료 700만원 부과 예정동아사이언스 l2024.12.20
- CCTV 모니터 6개 중 상단 4개의 전원을 임의로 껐다. 15분 뒤인 12시 50분에 정비작업자는 CCTV 상단 모니터 전원이 꺼진 것을 발견했지만 가속기 중심을 비추는 하단 모니터에 특이사항이 없고 치료실 문이 닫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가속기를 가동했다. 피폭자는 가속기 가동 소리를 듣고 밖으로 ... ...
- 미래 한국과학을 이끌 젊은 과학자 20인…차세대 한림원 회원 선출동아사이언스 l2024.12.17
- 좌측 상단부터 신유정(전북대), 김재훈(KAIST), 박진희(DGIST), 이상규(IBS), 이성빈(KAIST), 최창혁(포스텍), 김산하(KAIST), 신미경(성균관대), 안지환(포스텍), 오동엽(인하대), 이웅(KIST), 조강우(포스텍), 주진현(KAIST), 황의종(KAIST), 권춘탁(경희대), 박준원(서울대), 정영훈(경북대), 이시형(서울대), 정현정 ... ...
- 네이처 선정 올해 최고 과학 이미지…폭우에 떠밀리는 치타 外동아사이언스 l2024.12.16
- 불리는 이 고리는 새로 형성된 분화구에서 가스가 빠져나갈 때 생성된다. 보통 화산 상단에서 빠르게 뿜어져 나오는 화산 가스가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형태로 생성된 새 분화구를 통과할 때 고리 모양의 연기가 나타난다. '가장 작은 이식'. K. Morimoto et al./bioRxiv 제공 '가장 작은 이식'이란 제목의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