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샷
샷터
셧터
차광판
샤타
덧문
겉창
d라이브러리
"
셔터
"(으)로 총 138건 검색되었습니다.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과학동아
l
199904
하지만 선수에게 방해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 플래시를 터뜨리지 못한다. 따라서
셔터
속도와 조리개를 최대한 활용하는 한편 고감도 필름을 사용해야 한다. 그 결과 신문에 찍힌 권투 선수 사진의 질감은 거칠게 드러나게 마련이다.반대로 저감도 필름으로 촬영한 경우 사진의 입자가 곱고 ... ...
하늘지도로 별찾기
과학동아
l
199806
유리하다. 먼저 카메라에 필름을 넣고 삼각대에 장착한 다음 릴리이즈는 카메라의
셔터
누름 스위치에 끼운다.성도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별자리의 위치를 확인하고 삼각대를 움직여 별자리 부근으로 카메라를 가게 한다. 카메라 파인더를 들여다보며 별자리의 구도를 잡는다. 이 때 별이 희미해 잘 ... ...
1. 동굴벽화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706
셔터
와 연결된 가는 실을 쳐놓았다. 말이 카메라 앞을 지나면 실이 끊겨 자동적으로
셔터
가 눌러졌다. 머이브릿지는 이렇게 해서 말이 달리는 연속적인 영상을 얻는데 성공했다. 머이브릿지의 사진총은 환등기 시대의 종지부를 찍고 영사기 시대를 활짝 열었다. 에디슨은 머이브릿지의 실험에서 ... ...
전세계를 실망시킨 몽고 개기일식
과학동아
l
199704
낼 수 없는 일이었다.개기일식은 허망하게 진행됐다. 눈이 내리는 가운데 연신 카메라
셔터
를 눌러 댔지만 성과는 없었다. 2분25초 동안의 개기일식은 그렇게 끝났다. 우리들은 내년 2월 26일 일어날 예정인 파나마 개기일식에 기대를 걸면서 장비를 거뒀다 ... ...
러시아의 희망 무너져
과학동아
l
199612
전기라이터와 가스레인지에서 찰칵 소리를 내며 불을 붙이는 압전(壓電)소자, 카메라의
셔터
속도와 조리개를 자동조절하는 수광(受光)소자, 음향기기 등에 붙어 음량이나 다른 물리량의 크기에 따라 반짝이는 발광소자, 그리고 초고성능 컴퓨터용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조셉슨 접합소자 ... ...
1. 인간은 왜 입체감을 느끼나
과학동아
l
199606
액정
셔터
를 부착한 특수안경을 사용해 보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액정
셔터
의 우수한 스위칭 특성으로 좌우 화상을 완전히 분리 할 수 있어 입체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특수 안경을 사용해 입체 화상을 보는 것은 맨눈으로 보는 것에 비하면 아무래도 불편하다. 늘 안경을 ... ...
3. 입체 TV
과학동아
l
199606
이용해 새로운 장치의 개발이 이뤄졌다. 그 대표적인 것이 렌티큘라 방식과 액정식
셔터
안경을 이용한 입체TV, 그리고 의료 분야의 응용을 목적으로 개발된 물체의 깊이에 따라 반사경의 초점을 변화시키는 가변반사경(vari-focal mirror) 등이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입체 또는 ... ...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
과학동아
l
199604
그러므로
셔터
를 반쯤 눌러 자동초점 기능을 작동한 후 최소한 1초 이상 기다렸다가 마저
셔터
를 눌러 줘야 초점이 제대로 맞는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사물이 움직이거나 카메라가 흔들리만 안된다. 자동초점 기능을 써도 초점이 맞지 않는 사진을 얻는 경우가 허다한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04
최소한 필름감도(ISO) 400은 돼야 한다. 그리고 카메라를 혜성 방향으로 향하게 한 다음
셔터
를 누르면 된다. 노출 시간은 15초에서 약 1분까지 다양하게 한다. 이렇게 해 보면 필름 상에 혜성의 코마와 꼬리가 흐릿하게 나타나 있을 것이다.별의 일주사진을 찍듯이 장시간 노출을 주어도 혜성의 흐른 ... ...
3. 마음으로 찍는 사진 염사
과학동아
l
199601
어떤 사람이 영상을 떠올리고 이를 마음으로 카메라(또는 사진건판)를 향해서 보내면
셔터
를 누르지 않고도 필름에 그 영상이 찍히는 현상이다.염사현상은 1930년대 일본 도쿄대 후쿠라이 박사가 투시실험을 하던 중 우연히 발견됐다. 당시 후쿠라이 박사는 최면심리학을 연구하고 있었는데,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