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셔터"(으)로 총 1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봄날의 달빛을 좋아하세요?과학동아 l200805
- 자기 것이 아니어도, 또 모든 망원경 조작을 다른 사람이 해 줘도 사진의 작가는 셔터를 누른 사람이거든요.”이렇게 망원경을 이용해 찍은 기자의 첫 천체사진이 탄생했다. 제목도 붙였다. ‘봄날의 달빛을 좋아하세요?’라고.날개를 활짝 편 불사조 같은 오리온자리 대성운, 신비한 토성의 고리, ... ...
- 호주의 사막 한가운데서 별빛으로 샤워하다과학동아 l200803
- 있다.맑은 밤하늘을 만나는 날, 느낌 있는 별 사진 찍기에 도전해보자. 필요한 건 B셔터(셔터를 누르고 있는 동안 노출을 주는 장치) 기능이 있는 디지털 카메라와 삼각대, 릴리스 그리고 별빛으로 풍경화를 그릴 마음의 여유뿐이다.별을 관찰하는 현장의 느낌이 생생하게 묻어나는 사진을 찍기 ... ...
- 어둠 속 마음 심(心)과학동아 l200802
- 자외선이 유리관 안쪽에 발라진 형광 물질을 자극해 빛을 낸다. 작품 촬영자는 카메라의 셔터 속도를 조절해 노출시간을 늘렸다. 자외선 전등 아래서 형광물질을 흔들어 빛의 움직임을 고스란히 필름에 담았다. 보통 사진은 빛을 짧은 순간 필름에 담기 때문에 정지한 장면이다. 그러나 필름에 빛이 ... ...
- 별빛보호지구에 남은 시간의 기록과학동아 l200802
- 사진을 얻으려면 15분 노출을 한 사진을 연속해서 8장 촬영한 뒤 합성하는 식이다.카메라 셔터를 누른 뒤에는 낚싯대를 드리운 채 월척을 기다리는 강태공 마냥 별빛이 렌즈에 고스란히 담겨지기를 기다리면 된다.필자는 돌아오는 주말에도 천문인마을로 촬영을 떠날 예정이다. 이번에는 어떤 ...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과학동아 l200801
- 해주는 셔터 릴리즈가 필요하다. 셔터 릴리스가 없는 경우 셀프타이머 기능을 이용하면 셔터를 누른 몇 초 뒤 사진이 찍히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사진을 찍을 수 있다.멋진 배경으로 구도를 잡았으면 노출시간을 결정한다. 카메라가 자동으로 빛의 양과 노출시간을 결정하는 자동모드를 사용하면 ... ...
- 독도는 새똥이 살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7
- 찍었다. 두 다리를 가지런히 몸에 붙인 채 비행하는 괭이갈매기가 똥을 싸는 순간 카메라 셔터를 누른 것이다. 그 뒤 그가 찍은 사진에선 똥냄새가 난다는 이야기가 나돌았다. 날씨도 무더운데 새똥은 피해야지. 아~, 똥은 더러워! 괭이갈매기갈매기과“꽈아오, 꽈아오”하며 고양이 울음소리 같이 ... ...
- 나의 카메라 속 남극이야기과학동아 l200712
- 맞닥뜨리며 처참히 무너졌다. 잠시만 밖에 있어도 온몸이 꽁꽁 얼어붙었고, 카메라 셔터를 누르기 위해 낀 두꺼운 장갑도 장애물이었다. 추위에 어느 정도 익숙해져 외부촬영을 활발히 하게 된 뒤에도 늘 조심해야 했다. 얼어붙은 카메라를 들고 실내로 갑자기 들어오면 렌즈에 뿌연 김이 낀다. 이때 ...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과학동아 l200712
- 전기라이터와 가스레인지에서 찰칵 소리를 내며 불을 붙이는 압전(壓電)소자, 카메라의 셔터 속도와 조리개를 자동조절하는 수광(受光)소자, 음향기기 등에 붙어 음량이나 다른 물리량의 크기에 따라 반짝이는 발광소자, 그리고 초고성능 컴퓨터용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조셉슨 접합소자 ... ...
- HDTV 다음은 3DTV과학동아 l200710
- 이들 대부분이 양안시차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특수 안경의 경우 빛의 파장이나 편광, 셔터를 이용해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목표는 동화상 홀로그래피 방식사실 특수 안경을 쓰고 입체영상을 보는 방식은 맨눈으로 보는 방식에 비하면 아무래도 번거롭고 부자연스럽다. 평소 ... ...
- 1등 조명LED과학동아 l200706
- 찍으면 종종 어둡게 나온다. 형광등은 120분의 1초마다 켜졌다 꺼지기를 반복하기 때문에 셔터를 60분의 1초 동안 열어도 120분의 1초 동안의 빛만 들어오기 때문이다.나도 반도체라구!반도체 소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갖게 된 LED조명만의 장점도 있다. LED조명은 감성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다.LED조명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