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간
상부
상단
상란
d라이브러리
"
윗부분
"(으)로 총 30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건파일 2 도둑의 발자국
수학동아
l
201006
길면 빠르다다리의 아랫부분이
윗부분
보다 길면 속도가 빠르다. 말은 다리 아랫부분과
윗부분
의 비율이 2.5:1 이다. 코끼리는 오히려 아랫부분이 더 짧아서 0.7:1을 이룬다. 조각류 공룡 람베오사우루스는 비율이 1.5:1이라 잘 달렸을 것이다.수각류로 다리 길이가 50cm 정도에 속도가 빠른 공룡이라면, 내 ... ...
물! 너를 파헤쳐 보자
과학동아
l
201005
호수의 위쪽은 3℃, 2℃, 1℃로 떨어져 4℃인 물보다 밀도가 작기 때문에 가라앉지 않고
윗부분
만 얼게 된다. 또한 물의 수소 결합은 붉은빛을 잘 흡수한다. 일반적으로 얼음은 물보다 수소 결합이 25% 정도 많은데, 두꺼운 얼음인 빙하는 수소 결합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붉은빛을 잘 흡수하므로 ... ...
거대한 소용돌이가 전하는 공포
과학동아
l
201003
하루에 네 번 밀물이나 썰물과 교차하는 시간에 나타난다. 포는 소설에서 마엘스트롬이
윗부분
은 넓고 아래쪽은 좁은 깔때기 모양이며, 배가 한 번 빨려 들어가면 빠르게 회전하는 바닷물의 힘에 끌려 다니며 몇 시간 동안 빙글빙글 회전할 정도로 거대하다고 묘사했다. 고래나 곰처럼 큰 생물도 한 ... ...
수를 한눈에 보여 주는 친절한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02
재판정을 구분해 주는 경계선에서 유래해 ‘변호사’라는 뜻도 있다. 축구 골대
윗부분
은 cross bar라고 하며, 각종 상품에 찍혀 있는 막대기호를 bar code라고 한다. 이 외에도 막대모양의 사탕이나 비누를 말할 때도 bar라는 단어를 쓴다.막대그래프의 한 종류로 히스토그램도 있다. 히스토그램은 변량을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02
수 있도록 설계됐다. 남바위 와 풍차 를 보면 이런 특성이 더욱 뚜렷 이 나타난다.모자의
윗부분
을 터놓아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일단 남자들은 머리 위로 삐죽이 솟은 상투를 누르지 않고도 모자를 쓸 수 있다. 또 이 트임 덕분에 평면으로 재단된 모자가 자연스럽 게 벌어져 둥근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12
가장 건강하다는 증거다.가끔 몸이 까만 변들이 있는데, 이는 식도, 위, 그리고 소장
윗부분
인 십이지장 부위(상부 위장)에서 출혈이 일어나 혈액이 위산과 섞인 결과다. 적혈구에 있는 헤모글로빈이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과 반응하면 어두운 색을 띠는 헤마틴으로 변해 대변에 섞이기 때문이다.빨간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12
뒤 각각의 줄을 마찰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다. 세로로 길게 늘어진 유현과 대현은 입죽
윗부분
에 연결된 2개의 주아에 각각 감겨 있다. 주아로는 기타의 튜닝핀처럼 줄을 감거나 풀 수 있다.입죽 아래로는 공명을 일으켜 소리를 크게 하는 울림통이 있다. 입죽과 공명통을 연결하는 부위를 장식하는 ... ...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0911
양이 크게 늘어난다. 큰그림 보러가기유정란에 바이러스를 접종한 지 3일이 되면 달걀의
윗부분
을 잘라낸 뒤 배양한 바이러스를 자동채독기로 뽑아낸다. 바이러스를 뽑아내는 과정을 거치고 남은 유정란은 수분을 제거한 뒤 75℃에서 5분간 가열해 바이러스를 제거한 뒤 폐기처분해 바이러스가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11
냄새를 맡는 후각 상피세포는 코 속에서도
윗부분
에 있다. 후각 상피세포가 있는 비강
윗부분
과 후각을 인지하는 뇌의 변연계 사이의 거리는 약 2cm밖에 되지 않아 어느 자극보다 빠르게 뇌에 전달된다.사람이 냄새를 인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냄새를 구성하는 각각의 화학물질은 ... ...
마시면 살 빠질까? 차 음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10
반대로 무겁고 조직이 치밀한 약재는 아래로 향한다(降). 매운맛을 가진 약재는 몸의
윗부분
이나 몸 밖으로 향하며(浮) 쓴맛이나 짠맛을 지닌 약재는 몸 내부로 향한다(沈). 예를 들어 뚱뚱하고 피부의 지방조직이 치밀한 사람이라면 땀구멍을 열어 열과 땀을 배출 하도록 도와주면 살을 뺄 수 있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