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간
상부
상단
상란
d라이브러리
"
윗부분
"(으)로 총 302건 검색되었습니다.
여행지에서 먹는 물 걱정 끝!
과학동아
l
200908
.99%까지 제거됐다.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정수시킬 물의 양을 입력한 뒤 자외선램프와 그
윗부분
에 달려 있는 물 감지 센서까지 물에 담그고 스위치를 누른다. 물 감지 센서가 물에 들어가지 않은 채 스위치를 켜면 LCD 창에 찡그린 표정이 나오면서 작동하지 않는다.정수가 끝나면 LCD 창에 웃는 ... ...
음료수 속에 숨은 과학 제2탄!!
과학동아
l
200908
② 기압과 관련해 실험할 때는 바늘구멍처럼 미세한 틈만 존재해도 실패한다. 캔의
윗부분
은 틈이 생기지 않도록 테이프로 꼼꼼히 막아준다.알루미늄캔으로 만든 모자!알루미늄은 철보다 이온화 경향성이 크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 공기 중의 산소와 잘 반응한다. 하지만 ... ...
꽃가루 화석에서 피어난 한반도 과거
과학동아
l
200907
비교해 보면 당시 기온이 현재보다 4~5°C 정도 낮았음을 알 수 있다.습지퇴적층의 맨
윗부분
에서 추출된 꽃가루 화석은 지난 2000년 동안의 식생 변화가 지문처럼 남아 있다. 습지에 있던 식물들은 죽으면 퇴적되고 물에 젖어 산소가 차단된 상태로 있다가 점차 마르면서 석탄과 비슷한 이탄(토탄)이 ... ...
잠자는 명화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906
바니쉬를 발라 그림을 보호한다. 자외선이 투과하는 부분이 바로 바니쉬와 물감층의 맨
윗부분
이다.바니쉬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공기 중의 산소와 습기, 햇빛에 의해 산화된다. 비닐이 오래되면 질긴 성질이 사라지고 점점 푸석푸석 해지는 것처럼 바니쉬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도 점점 다른 ... ...
나비가 춤추듯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04
3가지나 된다. 먼저 전단와류(leading-edge vortex)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날개 앞쪽의
윗부분
에 소용돌이가 형성돼 압력이 낮아짐을 볼 수 있다. 부채질을 할 때 막히는 느낌이 드는 것도 부채 가장자리에 전단와류가 생겨 부채를 위로 끌어당기기(아래로 부채질을 할 경우) 때문이다. 전단와류는 곤충 ... ...
[생물학]세계에서 가장 긴 곤충 발견
과학동아
l
200901
말했다. 이 거대 곤충의 생태는 아직 거의 알려지지 않았는데, 열대우림의 나무
윗부분
에 사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신종 대벌레의 알도 발견됐는데 단풍나무 씨앗처럼 날개 같은 구조가 양옆에 달려 있어 바람에 날려 퍼질 수 있는 형태다. 베칼로니 박사는 “많은 놀라운 곤충들이 우리가 학명을 ... ...
[물리] 운동은 상대적이다
과학동아
l
200901
덥다. 더운 공기는 주변 공기보다 가벼워 위쪽으로 상승한다. 상승한 공기는 겉옷의
윗부분
으로 빠져나가고 외부 공기가 옷의 아랫부분을 통해 들어온다. 베두인족은 겉옷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를 인위적으로 높여 공기 흐름을 증가시킨다 ... ...
바다영웅 전설, 우리 바다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3
8개의 말뚝을 암초에 박은 뒤, 해양과학기지의 아랫부분을 먼저 세움.➍ 해양과학기지의
윗부분
을 올림.➎완성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의 모습.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를 소개합니다태양광발전기, 풍력발전기태양광과 바람을 이용해 전기를 만든다. 여기서 만든 전기는 기지의 전력으로 사용된다 ... ...
포자에 꼬리 달거나 돌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12
포자 표면에 돌기가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잘 들러붙을 수 있다. 초기에 알 형태이다가
윗부분
이 터져 나와 말뚝 모양을 이루는 말뚝버섯은 포자를 만든 뒤 2시간 안에 대가 밖으로 솟아오른다. 포자 덩어리는 대 상단부에 있고 곤충이 좋아하는 냄새를 풍기는 게 특징이다. 황녹색 주머니 모양인 ... ...
표면장력이 지배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811
물방울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에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증가한다.
윗부분
에서 아래쪽으로 작용하는 힘 중 변화하는 힘은 표면장력뿐이다. 표면장력(Fs)은 경계면에서 힘의 크기와 방향이 바뀐다. 질량이 증가하면 중력이 증가하고 θa의 크기가 커지면서 접촉면을 위쪽방향으로 끌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