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밀"(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04
- 덕분에 난류를 제어하는 기술을 매우 정교하게 실험할 수 있다. KSTAR에는 난류의 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앞선 진단장치가 적용됐다. 모든 연구들이 그렇지만 핵융합 연구는 도전과 실패가 반복되는 지난한 과정의 연속이다. 그러나 혼돈과 불면의 시간 끝에는 반드시 모든 ... ...
-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과학동아 l201604
- 굉장히 넓겠네요. 산업에서는 어디에 주로 쓰이나요?정윤찬 광통신이나 의료, 국방, 정밀가공 등의 분야에 많이 사용됩니다. 저는 그 중 국방이나 광양자통신 분야를 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방준휘 국방이라면, 영화에서처럼 레이저로 미사일을 격추시키기도 하나요?정윤찬 네, 맞습니다. 요즘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04
- 모든 것이 공개된 바둑에서는 알파고가 사람보다 뛰어난 직관을 보여줬지만, 보다 정밀한 추론이 필요한 불확실한 전장에서도 이런 모습을 보여줄지는 미지수다. 딥러닝 열풍이 불어 닥치는 와중에도 딥러닝을 기반으로 한 스타크래프트 인공지능이 개발되지 않은 것은 이런 어려움 때문이다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04
- 작업이다. 10년 동안 남반구 전체를 1000번 가까이 찍을 수 있는데, 이것을 모두 합치면 정밀한 3D 우주 지도가 된다. 칸 디렉터는 “(관측주기를 짧게 두면) 한 자리에서 별의 밝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어떤 별이 새롭게 나타나거나 사라지는지 등의 변화를 민감하게 측정하는 데 유리하다”고 ... ...
- [과학뉴스] 바이러스 질량까지 재는 센서 개발과학동아 l201603
- 기술국내연구진이 바이러스의 질량까지 잴 수 있는 초정밀 센서를 개발했다. 김동철, 이정철 서강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극도로 작은 물체의 질량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 1월 27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실리콘 원판인 웨이퍼를 1150℃로 ... ...
-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과학동아 l201603
- 않는다. 정말 가능할지 이론을 촘촘히 세우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어떤 실험을 어느정도 정밀도로 할지까지 세심히 설계하며, 성공확률이 얼마인지까지 철저히 계산하는게 과학자들이다.이것은 각광을 받는 한두 명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지루한 계산을 끝도 없이 하고 막대한 자료를 질리도록 ... ...
- [News & Issue] 스콜레사이트(Scolecite) 인도에서 온 붉은 원숭이과학동아 l201603
- 종류다. 나노미터(10억 분의 1m) 크기의 공극(결정에 존재하는 빈 공간)이 있어서 정수용 초정밀 여과 필터나 담배 필터 등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개는 수집용 광물로 인기가 높다. 광물계에 소개된 스콜레사이트는 주로 중심에서 바깥으로 방사형태로 뻗어 나간 무색투명한 침상 결정이 특징이다.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03
- 로햄튼대 생태생리학자 루이스 할시 박사는 만약 동물이 스스로 운동을 한다면, 몹시 정밀하게 계산된 결과일 거라고 주장했다(박스 기사 참조). “인간은 에너지가 풍부한 음식을 끝없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고강도 운동을 아무리 많이 해도 번식에 무리가 없다. 그러나 동물들은 굶어 죽지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03
- 사드의 핵심 구성품 중 하나인 레이더의 안정성도 논쟁 대상이다. 사드 레이더는 고정밀 X밴드 레이더로, 파장은 2.5cm, 주파수 대역은 8~12GHz이다. 미군이 밝힌 이 레이더의 안전거리는 사람(관계자)이 100m, 민간 항공기는 2.4km, 폭발물을 실은 전투기는 3.6km 등이다. 100m 밖이라도 허가 받지 않은 사람은 ...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201602
- 없고, 측정된 값도 정확하지 않지. 하지만 길이가 짧은 자로 잰다면 올록볼록한 부분을 정밀하게 측정해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 미세한 부분의 길이도 모두 재야 되니까 긴 자로 잴 때보다 총 길이도 더 길게 나오게 되겠지.”“알겠어요. 음, 해안선 말고는 또 없나요?”“또 있지. 나무 가지가 그냥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