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밀"(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507
- 만든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대형 비구면 반사경을 정밀하게 깎는 기술을 가진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에 이용현 기자와 한주희 기자가 다녀왔어요. 우리도 함께 가 볼까요?우리나라에서 반사경도 만든다고?망원경은 빛을 모아서 멀리 있거나 어두운 ...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수학동아 l201507
- 번개처럼 갈라지는 프랙탈 모양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팀은 좀 더 실제에 가까운 정밀한 모양을 얻기 위해 격자 5000개 공간에서도 번개를 만들었다. 번개, 어떻게 막을까?높은 건물이 지면보다 번개를 더 많이 맞는 건 사실이다. 번개가 칠 때 전하가 지그재그로 움직이면서 가장 빠른 경로를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07
- 피부에 반사되면서 반사광 ‘메아리’를 만들어냅니다. 이걸 분석하면 피부 내부 구조를 정밀하게 알아낼 수 있겠죠. 두고 보세요. X선 한 가지 빛만 이용하는 컴퓨터단층촬영(CT)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할 기술입니다. 그밖에도 빛 기술은 다양합니다. 여러분들이 손에 쥐고 있는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07
- 건 아니지 않는가. 배명호, 김남 연구원은 고개를 저었다. 암페어를 전자 하나 단위로 정밀하게 측정하는 건 ‘측정’ 이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다.“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이 반도체죠? 반도체가 나노 단위로 작아지면서 옛날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미세한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07
- 1979년에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가 나서서 1919년의 데이터를 현대적인 기법을 동원해 정밀하게 다시 조사했다. 시야가 좁은 4인치 렌즈로 측정한 결과는 약 1.90초, 천체사진렌즈의 결과는 약 1.55초로 분석돼 아인슈타인이 옳았음이 밝혀졌다. 하지만 1919년의 결론은 분명히 성급한 면이 있었다 ...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과학동아 l201506
-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나 라가 대다수라는 점이다. 위성 정보와 값비싼 센서를 이용해 정밀한 지진 관측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큰 비 용이 든다. 아이티와 네팔과 같은 개발도상국에선 엄 두를 내기 힘들다. USGS는 도시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 를 ... ...
- 초정밀 GPS로 드론 상용화 길 텄다과학동아 l201506
- 5월 5일 보도했다.기존에 드론이나 휴대전화에 적용되는 GPS는 정확도가 m 단위로, 정밀한 위치 분석이 불가능했다. 고성능 안테나를 사용하면 정확도를 높일 수 있지만 비용이 고가라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기존 안테나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안테나가 위치를 계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 ...
- 조곤조곤 풀어보는 문화재의 수수께끼 ④ 조선 왕릉 연구의 기틀을 닦다과학동아 l201506
- 자료화하고, 정밀한 도면으 로 만들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습니다. 이렇게 만 든 정밀 측정 자료가 9000건에 달합니다. 이 자료는 두툼한 보고서 여러 권으로 묶여 나왔고, 문화재청의 각종 복원 사업은 물론 학계, 일반인들을 위해 제공 되고 있습니다. 조선 왕릉 학술 조사를 담당하고 있 는 황정연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06
- 제거하려면 그 부분을 정밀하게 도려내야 한다. 고작 4096개 를 구분하는 효소로는 이런 정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 인간의 DNA는 길이가 32억 개가 넘는데, 4096개마다 한 번씩 반복되는 서열을 잘랐다가는 산술적으로 7만 개가 넘는 다른 DNA까지 잘라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한효소는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06
- 또 세계에서 가장 큰 3.2기가픽셀짜리 초대형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해 밤하늘 사진을 크고 정밀하게 찍을 수 있지요. 비유하자면 E-ELT는 좁고 깊게 보는 접사 사진, LSST는 넓고 얕게 보는 파노라마 사진을 찍는다고할 수 있어요.LSST는 제공하는 데이터의 양도 거대해요. 하룻밤에 카메라에 담기는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