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수가 나오는 범위에 집중한 가우스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확률이 같지 않다. 그래서 가우스는 앞면이 나올 확률을 소수가 나올 확률이라고 가정한 다음 소수 동전을 N번 던졌을 때 확률을 구했다. 그 결과 적분 식으로 이뤄진 일반화된 함수를 만들었다. 소수의 개수가 로그함수의 그래프와 비슷한 형태로 계단 모양을 그리며 커진다는 것을 알아내고, ...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관련된 행동들을 찾는다. 이중 ‘콜라 캔 찾기’를 가장 먼저 수행해야함을 파악하고 그 다음에 이어질 적절한 행동을 찾아 하나씩 수행한다. 팜-세이캔 모델처럼 알아서 목표를 찾고 수행 순서를 정한다면 어떤 임무에도 적용이 가능해, 범용 AI 로봇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완벽하게 인간을 닮은 ... ...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주기로 반복되는 패턴이라고 하자. 그러면 먼저 앞발 두 개가 동시에 땅을 박찬 뒤, 다음 박자에서 동시에 뒷발 두 개가 땅을 박차고, 나머지 두 박자 동안 네 발 모두 공중에 떠 있다가 다시 앞발 두 개가 한꺼번에 착지하는 형태의 걸음걸이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언 스튜어트는 과연 이런 ... ...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사용자가 수식을 여러 줄에 걸쳐서 전개했을 때 각 줄을 따로따로 인식해 저장한 다음 첫 번째 줄과 두 번째 줄을 비교해 두 식의 답이 대응되지 않으면 실수했다고 판단해요. 아직은 굿노트가 보유한 문제를 내려받았을 때만 사용할 수 있지만, 앞으로는 굿노트를 쓸 때 언제든 AI 수학 도우미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슈퍼컴퓨터, 바이오매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탄소)의 양은 5500억 t(톤)이었습니다. 이중 식물이 4500억 t으로 전체의 82%를, 그 다음으로 미생물인 박테리아가 700억 t으로 13%를 차지했어요. 바이오매스로 따지면 지구의 주인은 식물인 셈이지요. 와이즈만 과학연구소에 따르면, 인간의 바이오매스는 6000만 t으로 모든 생명체의 0.01%뿐이었어요. ... ...
- [출동! 어린이 기자단] '신비아파트 제작 스튜디오에 가다' 신비한 애니메이션 속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되었나요? 초등학생 때 제가 그린 만화를 학교 친구들이 돌아가며 읽었어요. 친구들이 다음 이야기를 궁금해하며 더 그려달라고 조르기도 했는데, 그때 보람을 많이 느꼈지요. 그래서 만화 만드는 일을 꿈꾸게 됐어요. 어수동 : 귀신이 나오는 콘셉트는 어떻게 생각해냈나요? 많은 사람이 듣고 ... ...
- [에디터노트] 생성AI 격류, 노부터 젓기 전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생성 AI가 더 강력해지기 위해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 트렌드를 예측했습니다. 그런 다음 생성 AI를 똑똑하게 활용하는 방법과, 생성 AI 활용능력이 지역, 세대, 계층 간 격차가 생기지 않도록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생성 AI 열풍 속에 뛰어들기 전에 종합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 ...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있는 지도를 이용합니다. 지도에서 로봇이 주행 가능한 영역과 아닌 영역을 미리 설정한 다음, 주행 가능한 구역에서 시험 운행을 반복하면서 로봇이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AI 딥러닝 과정을 추가로 거칩니다. 이 프로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로봇도 태어나서 적어도 한 계절,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있던 차에, 스탠퍼드대 한 연구실에서 생물 발광 실험을 하는 것을 봤다. 김 대표는 그다음 해인 2010년, 내과 전문의를 취득한 뒤 KAIST 의과학대학원에 입학했다. 창업이 김 대표에게 또 하나의 선택지가 된 것은 그가 박사과정 중에 지도교수를 따라 미국 하버드대 부속 병원인 매사추세츠 ...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것을 단박에 깨닫는 일은 없었다. 그는 먼저 이중나선 구조라는 개념적 모델을 완성한 다음, 이를 확증하는 데 킹스 칼리지 런던 연구팀의 DNA 구조에 관한 결정학 연구 보고서와 51번 사진과 같은 데이터를 사용했다. 바꿔 말해, 51번 사진은 회자되는 만큼 이중나선 발견에 결정적이지 않았다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