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
총포
화포
새빨간 거짓말
허풍
d라이브러리
"
대포
"(으)로 총 198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전명령 ④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Ⅱ 수학으로 월드컵을 예측한다 : 누가누가 이길까? 전쟁에서 꽃 피운 수학 작전명령 ①
대포
를 정확하게 쏴라! 작전명령 ② 정확한 지도를 만들어라! 작전명령 ③ 최선의 방법을 찾아라! 작전명령 ④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수학의 난제가 숨어 있다.17세기 초 영국의 수학자 토마스 해리엇은 일정한 공간에
대포
알을 가장 많이 쌓을 수 있는 방법을 궁리하다가 유명한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케플러와 의논했다. 구 모양의 물체를 쌓으면 어쩔 수 없이 빈 공간이 생기기 때문에 가능한 빈 공간을 적게 만드는 방법을 찾아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지구를 자전하는 달의 움직임과 날아가는
대포
알의 움직임은 모두 같은 운동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또한 수학 공식으로 정리한 법칙으로 규칙성을 파악하면 앞으로 일어날 자연 현상도 예측할 수 있다. 과학의 역사에서는 이론적으로 예측한 일이 ... ...
The Best Invention of the Year: NASA's Ares Rockets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미국의 로켓 선구자인 로버트 고다드에게서 아이디어를 얻었고, 고다드는 17세기
대포
제작자인 카지미어즈 지미노비치에게서 영향을 받았다.아레즈 1호는 이들의 자랑스런 후손에 해당한다. 가벼운 합성 재료와 향상된 엔진을 갖추고 있고 성능이 뛰어난 컴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더 나은 ... ...
달나라 탐험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속도가 느려집니다.
대포
알이 달에서 가장 먼 원월점으로 다가가고 있는 중이므로
대포
알의 속도가 줄어들거라는 바비케인의 예측은 정확했습니다. 그리고 모험가들은 마지막 수단으로 속도가 줄어들 때 역추진 로켓을 점화해 달에 착륙하려고 합니다 ... ...
대포
쏴 달나라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가능성이 높아서다. 이 때문에 연구팀은 연료처럼 파손될 걱정이 없는 짐을 옮기는 데 이
대포
가 쓰일 것으로 전망한다. 이런 방식으로 연료를 수송하면 우주정거장이나 달, 화성 기지를 유지하는 비용이 훨씬 낮아진다. 많은 절차와 운영 인력이 필요한 우주선을 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헌터 ... ...
지구에서 달까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한 망원경을 만들어 포탄을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Epilogue_마침내
대포
는 3명의 모험가를 태운 포탄을 달을 향해 쏘아 올립니다. 4일뒤 거대한 천체망원경으로 달을 관측한 결과 포탄을 발견하지만, 계산이 약간 틀렸는지 포탄은 달에 착륙하지 못한 채 달 주위를 돌고 있습니다. 이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하면이 나온다. 이 숫자들을 ‘각 채우기 방식의 밀도’라고 부른다. 케플러 방식은
대포
알 같은 공이 전체 공간의 74%를 채운다. 여기서 따져봐야 할 것이 하나 더 있다. 지금까지 본 사례는 모두 규칙적으로 채운방식이지만, 규칙이 없게 채우는 방식도 허용하면 어떤 창고에서는 과일 쌓기보다 더 ... ...
겨레의 과학을 찾아서! 수원화성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벽을 만들고 안쪽에 흙을 쌓았어. 이런 건축 방식을‘외축내탁’이라고 하는데, 흙이
대포
알의 힘을 분산시켜 주기 때문에 쉽게 무너지지 않는대. 여기에‘여장’이라는 벽을 또 세워 더 튼튼하단다. 수원화성박물관! 이것만은 꼭~! 수원화성박물관 안에는 화성을 계획하고 건설하는 과정이 그림과 ... ...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아직 구체화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투자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북한은 1998년
대포
동 1호를 발사한 뒤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의 존재를 드러냈고 이 위원회에서 운반로켓과 위성 등의 연구제작과 개발,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혀 위성개발에도 점진적으로 투자하는 것으로 보인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