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
총포
화포
새빨간 거짓말
허풍
d라이브러리
"
대포
"(으)로 총 1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입고 싸운다 군복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소속을 분명히 해주는 역할이 더 컸다. 이런 경향은 중세 이후 근세로 들어와 총과
대포
가 등장하면서 더욱 심해졌다. 총이 전쟁의 중요한 무기가 되면서 대표적인 기능성 전투복이던 갑옷이 사라지고, 이제 군복은 말 그대로 ‘유니폼’이 된 것이다. 18세기의 화려한 색깔과 불편해보이는 군복들이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그런 무거운 옷을 입고는 격투는 고사하고 걸어 다니기도 힘들 것이다. 배트맨은 총과
대포
에 몰락한 중세 기사에 대해 공부를 해야 할 것이다. 사실 배트맨의 팬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은 박쥐 갑옷과 배트카를 제작한 집사 알프레드의 정체다. 도대체 뭐하는 노인이길래 첨단 기술과 현대 ... ...
박치기 명수 거북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나머지는 모두 칼·송곳 같은 것을 줄지어 꽂았다. 그리고 앞은 용의 머리를 만들어 입은
대포
구멍으로 활용했으며 뒤에는 거북의 꼬리를 만들어 꼬리 밑에 총 구멍을 설치했다. 좌우에도 총 구멍이 각각 여섯개가 있었으며, 군사는 모두 그 밑에 숨어 있도록 했다. 싸울 때는 거적이나 풀로 덮어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빠를 뿐만 아니라 그 속도도 예상만큼 느려지지 않으니 이런 공은 골키퍼에게 진짜 ‘
대포
알’처럼 느껴질 테니까. 2002년 월드컵에서 한국의 골키퍼로 활약할 김병지나 이운재는 이런 물리적 사실을 ‘동물적 감각’으로 깨닫고 있을까. 수비벽에서 휘는 공의 비밀공의 회전은 프리킥한 공을 휘게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인해 아름다움 절경을 보여주는 곳도 있다. 중문관광단지를 지나 서귀포방향으로 가다
대포
동이라는 해안마을을 찾아가보자. 이 마을에서 서남쪽으로 농로를 따라 6백여m쯤 들어가면 소나무 사이로 놀라운 전경이 나타난다. 제주 사람들이 지삿개라고 부르는 곳이다.마치 성의 기둥처럼 생긴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이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원운동을 해석한다.생각해볼문제■자체 추진력이 없는, 마치
대포
알과 같은 우주선을 타고 지구를 출발, 달까지 가고 있다. 출발한 이후 달에 도착할 때까지 여기에 타고 있는 사람이 무중력 상태를 느낄 수 있을까?■뉴턴은 달이 지구 주위를 도는 운동과 사과의 자유낙하 ... ...
우주탐험의 지상관문 세계의 우주센터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지난 1998년 북한이 ‘광명성’이란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며 일본 상공을 통과한 ‘
대포
동’ 로켓 때문에 일본열도가 달아올랐던 일을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최근 인터넷망이나 이동통신망을 전세계적으로 구축하는데 저지구궤도의 활용도가 어느 때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이런 특유의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방정식을 통해 정리되는데, 핵심은 압력과 부피의 곱이 온도에 비례한다는 것이다.공기
대포
튼튼한 종이상자에 구멍을 뚫어 연기를 채워보자.수m 떨어진 촛불을 끌 수도 있다.왜그럴까?상자를 두드리면 상자의 부피가 순간적으로 줄어들면서, 공기가 밀려나온다. 안에 연기가 가득 차있기 때문에 ... ...
우리 역사 속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일본, 그리고 중국은 국민의 창의성과 기술 개발을 장려해 증기선을 만들고 위력적인
대포
를 제작하게 됐다. 그들 근대식 군함이 조선 영해를 침범했을 때, 인력과 풍력에 의존했던 우리나라의 범선은 그들의 적수가 되지 못해 급기야 강제개항이라는 국치를 당하게 됐다.해방 이후 우리는 조선업 ... ...
파라볼라 안테나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모양의 곡선을 포물선이라고 부른다. 포물선은 공중으로 비스듬히 던져 올려진 물체나,
대포
로 공중을 향해 쏜 포탄이 땅에 떨어질 때 지나는 경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중력만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실 자유낙하하는 물체의 낙하 거리를 구하는 그 유명한 공식(y=1/2${gt}^{2}$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