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갈라진 틈
d라이브러리
"
돌파구
"(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나오자 아프리카 여성만의 특징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헤글룬트 교수는
돌파구
를 찾기 위해 걸음 연구로 유명한 이탈리아 밀라노대의 지오바니 카바냐 교수에게 도움을 청했다. 카바냐 교수는 사람이 걷는 원리를 역진자 운동으로 설명한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의 걸음걸이가 시계추가 왔다 ... ...
기세 오른 한국 수학, 국제수학자대회 유치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당시 내걸었던 기치가 ‘동서독 통합’이었습니다. IMU를 통해 한국의 분단 상황에서
돌파구
를 만들려는 우리 수학계의 노력이 그에게 특별한 감흥으로 다가갈 것으로 생각합니다.”“청소년이여, 수학계 노벨상에 도전하라”국내 학계에선 ICM이 촉발한 수학 발전이 주변 과학기술과 현실 생활을 ... ...
소음 잡는 알리바이 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더 이상 새로이 확장할 기능이 없어지면서 제조업체는 통화 품질 업그레이드에서 그
돌파구
를 찾았다.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영상통화도 소음제거 기술에 힘을 실었다.통신 사업자가 소음제거 기술을 도입하는데 앞장선 측면도 있다.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부 김남수 교수는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때문이다. 연구단은 특정 위치에서만 나노막대와 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방법을 개발해
돌파구
를 모색하고 있다. 결정 성장 방향 제어가 중요“결정이 자라려면 구성원소가 기존 결정이나 물질에 달라붙어야 합니다. 눈 결정이 자라려면 먼지 같은 핵이 필요한 이유죠.” 연구단은 산화아연이 ... ...
손대면 톡(talk) 터지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바람에 기기를 조작하기는 오히려 더 불편해졌기 때문이다. 휴대전화 제조사들은
돌파구
를 유저인터페이스(UI)*에서 찾았다.휴대전화 UI 혁명의 신호탄은 놀랍게도 업계 후발주자인 애플이 쐈다. 애플은 지난해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UI를 적용한 아이폰으로 일약 휴대전화업계의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그런데 원핵생물이면서도 진핵생물의 특징이 더 많은 고세균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돌파구
가 열렸다. 우스 교수는 “독특한 생명체인 고세균은 세포의 관점에서는 원핵생물이지만 사실상 진정세균보다는 진핵생물과 더 밀접히 관련돼 있다”며 “이들은 단순한 생명체이기 때문에 고세균을 ... ...
2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분야에서 SNS의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서비스가 나타나는 등 SNS가 기업혁신의 새로운
돌파구
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6단계에서 2단계로 좁아진 세상전세계적으로 인터넷의 흐름을 보면 야후 같은 1세대 커뮤니티형 포털의 뒤를 이어 구글 같은 2세대 검색형 포털이 등장했다. 몇 년 뒤에는 ... ...
최종이론의 꿈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어마어마한 에너지 차이가 존재한다. 이 기막힌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어떤
돌파구
를 마련해야 할까?아직도 학계에는 초끈이론을 실험적인 검증과 거리가 멀다는 이유로 신뢰할 수 없다는 흐름이 있다. 와인버그 교수는 이에 반대의견을 피력했다. 비록 실험과 성공적인 접점을 갖지 못한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올해 초 암이나 당뇨병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체세포 복제돼지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돌파구
를 마련하는 쾌거를 이뤘다. 센터를 이끄는 충남대 박창식(61세) 교수는 “좋은 연구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연구의 맥이 끊어지지 않아야 한다”며 “전주기 프로그램은 연구의 대를 잇는다는 측면에서 꼭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방향을 돌렸다. 물론 나름대로 전망도 있었다. 산화물이 기존 재료의 문제를 해결할
돌파구
라고 본 것이다.당시 기초과학에 대한 지원은 턱없이 부족했다. 연구하는데 쓸 장비가 없어 학생들과 함께 직접 만들었다. 레이저로 산화물을 얇게 쌓는 장비를 만들기 위해 서울 청계천 일대의 기계 상가를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