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갈라진 틈
d라이브러리
"
돌파구
"(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예측불허 주가에 숨겨진 질서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과학과 카오스 이론,컴퓨터 모델링과 확률 이론 등 물리학자가 고안해낸 방법론에서 그
돌파구
를 찾으려고 한다.독창적인 아이디어와 분석적인 사고에 능한 물리학자가 경제학의 복잡한 문제를 푸는데 실마리를 제공해주길 기대하고 있다.많은 경제현상이 비선형 복잡계와 비슷한 특성을 보인다는 ... ...
② 양자론 구축의 대들보 빛과 물질의 이중성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물리학자들은 기존의 고전 물리학으로는 이를 설명할 수 없었기 때문에 새로운
돌파구
를 찾아야 했다. 플랑크의 양자가설이 그 중 하나였다.1905년에 아인슈타인은 광전효과를 다루면서 양자가설을 도입해 빛 입자, 즉 광양자 이론을 본격적으로 펼쳤다. 광전효과는 금속에 빛을 쪼이면 전자가 ... ...
난치병 치료의 두가지
돌파구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지난 6월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과물의 초안이 완성돼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더니, 8월에는 ‘복제’ 이슈가 국내외 신문방송을 통해 쏟아져 나왔다. 이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끈 사례는 국내에서 성공한 인간배아복제, 그리고 일본 연구진이 수행한 돼지복제다. 첨단 생명공학의 결실인 이 두가지 ... ...
멋진 신세계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입장을 취하는 편이었다. 그가 1937년에 미국 캘리포니아로 간 것은 영적으로 새로운
돌파구
를 찾아서였다고 알려진다. '멋진 신세계' 이후 그가 발표한 유사한 소설 중에서 '원숭이와 본질'(Ape and Essence, 1948)은 서기 2018년을 배경으로 한 어두운 디스토피아 얘기다. 핵과 생물학 전쟁으로 세상이 ... ...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인간의 장기를 제공할 수 있고, 당뇨병이나 암과 같은 불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돌파구
라고 그들은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1999년 9월 우리나라에서 개최된 생명복제에 대한 시민합의회의(과학동아 1999년 10월호 참조)에서 인간 배아(정자와 난자가 수정한 후의 생명체)의 복제마저 금지해야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1. 포스트 유전자 시대 스타 이건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능력있고 의욕넘치는 학생들이 돈을 내며 배우겠다고 하는 국내 상황은 어쩌면 또다른
돌파구
라는 얘기다. 대학원생들이 재산이기 때문에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엄청난 채찍을 휘두르는 것이다.그는 국내에서 세계적 수준의 과학자가 되려면 두가지 실력을 갖춰야한다고 주장한다. 전공 분야의 ... ...
1. 한국인은 노벨상에 도전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3세대. 하지만 이들이 40대에 어떤 성과를 낼 수 있을지 현 단계에서 단언하기 어렵다.
돌파구
는 어디일까. 고등과학원은 기초과학 중 '장래가 가장 밝고 사람이 있는' 분야를 선별해 중점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국내에 사람이 없다면 국적을 불문하고 외국에서 초빙해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 ...
DNA는 생물 블랙박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과거생물과 현대생물간의 직접적인 비교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그러나 최근 새로운
돌파구
가 열렸다. 즉 현존하는 생물 중에 고대생물이 남아있음을 알게된 것이다.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는 은행나무와 깊은 바닷속 화산 근처에 서식하는 심해 미생물이 바로 그것이다.이러한 생물들은 환경적 ... ...
북한에 다녀온 옥수수박사 김순권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제출된 김박사의 업적 논문이 “수평저항성: 아프리카의 스트라이가 저항 연구의
돌파구
”였던 것은 그의 지론과 연구성과가 노벨상감으로 인정돼가고 있다는 것을 대변해준다.1등 한번 못해본 노벨상 후보해마다 노벨상 후보에 오르는 그가 더 인간적으로 보이는 것은 그가 아인슈타인처럼 천재나 ... ...
인류를 먹여살린 화학비료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흔히 질소의 위기라 불리는 19세기말의 이 위기는 한 자연과학자의 노력으로 해결의
돌파구
가 마련됐고 인류는 그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오늘날의 풍요와 고도문명을 누릴 수 있었다. 공중 질소로부터 암모니아를 합성해 비료를 만드는 방법이 등장한 것이다. 노벨상 정신에 가장 부합과학을 통해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