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갈라진 틈
d라이브러리
"
돌파구
"(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염색체 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그 해답을 '생명현상'에서 찾기 시작했다.생명과학이 21세기를 바라보는 인류의
돌파구
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생명과학의 발달은 정보처리, 신산업기술과 신물질, 신동력 등 혁신적인 과학기술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생명공학의 현주소를 조망해보고 앞으로의 전개방향을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로봇이 출현하게 될지도 모른다.이러한 가능성 외에 마이크로 머신 분야의 새로운
돌파구
가 생명공학에 의해 열릴지도 모른다.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하고 자기복제가 가능한 궁극적인 마이크로 머신은 분명 생명체와 흡사할 것이기 때문이다. 어쨌든 인간의 미시세계에 대한 탐구와 도전이 ... ...
가이아 이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과학자들이 환경문제를 새로운 연구비의
돌파구
로만 파악하는 상황을 비판하고, 예를 들어 체르노빌 사고 이후 근처의 순록을 절멸시킨 것은 지역주민에게 방사능 이상의 심각한 생존 문제를 야기한 것이라고 지적하는 것이다. 각종 환경 규약과 ...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자료들과 수학적으로 분할된 스펙트럼들을 보여 주었지만, 역시 고등정신활동의 파악에
돌파구
를 열지는 못하였다. 사실상 우리 머리속에 주파수가 여러가지인 사인파발진기가 몇십개씩 들어있으리라 믿는 사람은 없었고, 푸리에변환은 생물학적 잡음을 억지춘향식으로 수학에 두드려 맞추려는 ... ...
기막힌 풀러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벤젠의 원자들은 6각형 고리구조를 형성하고 있다고 확신하였다.1984년엔 또다른 유형의
돌파구
가 생겼다. 휴스턴시에 있는 라이스대학의 리처드 스말리, 봅 컬 그리고 영국의 화학자인 헤리 크로토는 거대한 탄소별들을 만드는 것처럼 보이는 탄소원자고리들의 구성방법을 실험실에서 재생하고 ... ...
개량형 틀니 개발해 국제발명전 휩쓴 치과의사 윤한석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나가는 과정을 몸에 익힌 덕분에 생각이 꽉 막혀 더 이상 작업이 나아가지 못할 때마다
돌파구
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는 게 그의 체험이다.특허 취득 이후 윤씨가 직접 만든 틀니를 해 넣은 사람은 1백여명에 이른다. 이중 일부는 잘 맞지않아 다른 형태의 틀니를 해 가기도 했지만 현재까지 80%정도의 ... ...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이러한 현상을 뛰어넘기 위해서 영화산업 종사자들은 기술적인 개발을 통한 새로운
돌파구
를 모색하게 되었다. 대형화면이 등장하면서부터어나모픽 렌즈(anamorphic lens)를 이용해 촬영했던 1952년, 영상기술사에 큰 획을 긋는 발명이 이뤄졌다. 화면을 2분의 1로 압축해서 촬영을 한 뒤 스크린 위에 ... ...
발명가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버리지만, 창조력이 있는 사람은 자기의 조그만 아이디어에 주의를 집중하여 새로운
돌파구
를 연다. 따라서 창조력을 높이고자 하는 사람은 자기 아이디어의 가치를 믿고 끈질기게 발전시켜 나가면 될것이다. 전문가 따로 있다는 생각 버려야똑같은 야구선수들도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유격수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거의 드문상태이다. X선 레이저와 자유전자 레이저가 출력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돌파구
가 될지도 모른다. X선 이하로 파장을 줄이면 물체를 투과하기 때문에 공진기를 만들 수 없다. 기존의 레이저 공진기 개념을 뛰어넘는 새로운 공진기를 만들어야 하는 데는 기술상 어려운 점이 따른다. 그러나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환경은 오염되고 교통량은 넘쳐 흐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유일의
돌파구
는 '우주로의 이동'이다. 그 첫번째 도착지가 달이 될 것은 너무나도 분명하다.현재 우주개발의 최대 난점은 개발비용이다. 그중에서도 두꺼운 지구대기를 뚫고 물자와 인력을 우주공간으로 보내기 위한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