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andglass
hourglass
사시계
청우계
보석함
테니스화
페라루크
d라이브러리
"
모래시계
"(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2. 40억년 전 비밀 캐는 끝없는 논쟁 생명의 기원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화성 생명체' 가 화제다. 이를 계기로 지구 생명체가 어떻게 탄생했을까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생명은 어디서 유래했을까. 생명 기원에 관한 다양한 가설을 살펴보자.지구가 형성된 지 45억년.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화석은 약 38억년 전 바다에 살았다고 추정되는 원핵생물이다. 그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MyCn18은 '
모래시계
성운'이라는 애칭이 붙어 있다. 두개의 루프는 비스듬히 내려다 본
모래시계
와 같다. 지구에서 MyCn18까지는 8천광년. 허블우주망원경으로 본 MyCn18은 지상에서 볼 수 없는 아름답고 섬세한 모습을 담고 있다. MyCn18은 빠른 속도로 진행하는 항성풍(stellar wind)이 천천히 팽창하는 가스를 . ...
사람은 왜 죽는가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느껴진다. 또한 처음에는 가득 채워졌던 모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줄어드는
모래시계
처럼. 생체시계로 기능한다말단소립은 우리 몸 안에서 생체시계(cellular clock)로 기능하며 있다. 우리 몸의 피부나 피 속의 림프구 및 혈액세포 내에 존재하는 말단소립은 매년 15-40 염기쌍(base pairs)씩 소멸돼 ... ...
자동차 한계 도전 성능 테스트 현장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자동차 주행시험장은 자동차가 설계대로 제작됐는지, 어떤 특성과 성능을 가졌는지를 조사하기 위한 자동차의 종합시험코스. 주체가 되는 고속주회로에서는 최고 시속 2백㎞까지 달리며 각종 테스트를 한다.자동차를 운전하는 사람이라면 주행중 한번쯤은 엉뚱한 공상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 ...
초신성 1987A 주변 신비의 고리 3개 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한가지 가능성은 두개의 고리가 가스로부터 분출되는 고에너지 방사선이 보이지 않는
모래시계
에 색칠을 하고 있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방사선의 원천은 이전에 잘 알려지지 않은 별의 잔류물질, 즉 1987년에 폭발된 별의 동반성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이 견해에 모든 천문학자들이 ... ...
1. 현대물리학 혁명 입자·파동 두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고대인들은 빛을 어떻게 인식했는가. 이들의 빛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갈릴레이와 뉴턴의 연구가 덧붙여졌고 20세기 초반 상대성이론과 양자 역학이 성립함으로써 빛의 본질이 드러났다.B.C. 6세기에서 4세기에 이르는 기간은 인류 역사상 사상적 변화가 가장 컸던 시기라고 말해진다. 불행하게도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우리의 몸은 개일시계와 개년시계를 지니고 있다. 이 생체시계를 관장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슬슬 「몸」을 풀기 시작하면….새벽 1시면 닭은 홰를 치며 운다. 깊은 잠에 든 농부들에게 첫 새벽을 알리는 동물시계다. 분꽃은 곁두리(샛밥) 때면 꼭 활짝 피어 시간을 알려주는 농촌아낙네들의 꽃(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천체망원경은 가전제품들과는 달리 조립만 했다고 바로 사용할 수 없다. 무게균형 잡기, 파인더 시준, 극축과 광축맞추기 등 여러가지를 조정해야 한다.천체망원경을 구입해 집으로 가지고 와서 처음 포장상자를 풀어보면 여러가지 종류의 부속품들이 많이 들어있다. 같이 들어있는 천체망원경 조 ... ...
지구의 나이까지 알아 맞힐 수 있는 절대연대 측정방법 5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딸원소의 질량이나 방사선의 세기를 측정해 서로 비교하는 일이 그 전부다. 예를 들어
모래시계
의 원리를 머리 속에 그려 놓으면 알기 쉽다. 이동된 모래의 양을 보고 시간을 짐작할 수 있는 것과 매우 비슷하다.절대연대의 측정방법들은 여러가지가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중요한 다섯 가지만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울릉도는 한반도의 신생대 제4기 화산활동을 대표하는 섬으로 다섯번에 걸친 분화를 통해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었다.매년 여름 겨울방학마다 (중)고교 과학교사들에게 생생한 현장탐사의 기회를 제공해온 '전국고교교사 자연생태계 학습탐사'가 지난 8월13일부터 17일까지 화산섬의 보고인 울릉도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