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andglass
hourglass
사시계
청우계
보석함
테니스화
페라루크
d라이브러리
"
모래시계
"(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훌륭한 천체관측시설갖춘 경기도 학생과학관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306㎜ 카세그레 인식 반사망원경을 이용해 별자리를 관측하고 있는 우주소년단원 K군은 스스로 만든 로킷을 타고 직접 별세계를 탐사할 계획을 갖고 있다. 태양과 달 행성들을 꾸준히 관찰해온 K군은 엊그제 시험발사에 성공한 로킷이 불과 수십m이기는 하나 창공으로 솟아오를 때의 감격을 아직도 ... ...
시계의 발달②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때는 추가 성공적으로 시계에 적용되었을 무렵이다. 그 때까지 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모래시계
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었다. 추의 사용은 분과 침뿐 아니라 1670년경 초침의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그것은 추의 낙하운동과 그 저지를 보다 짧은 간격으로 조절하면 되는 문제였다 ... ...
PART I 세계적으로 드문 독특한 조건 황해는 어떤 바다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수심이 얕고 조류가 강해 혼탁한 것이 황해의 특징이다.우리나라를 둘러싸고 있는 동·서·남해 바다는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어장으로서, 해상교통로로서, 산업공간으로서, 국토확장의 장 등으로서 바다의 이용도는 매우 다양하다. 옛부터 중국과의 문화교류와 교역면에서 두나라를 잇는 ... ...
해시계에서 불시계까지 시계의 발달 시계의 발달①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시계발명의 역사, 시간을 더욱 정확하게 사용하려는 인류의 끊임없는 요구는 물시계,
모래시계
를 비롯하여 불시계의 발명과 사용으로 발전해 왔다. 각 시대 각 나라마다 전통과 생산력 발전의 정도에 따라 시계의 내용과 형태는 달랐지만, 항상 '일보의 전진'은 이전의 발견을 토양으로 한 것이었다 ... ...
30여년만의 본격조사 휴전선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인적끊긴 30여년의 세월은 휴전선 일대를 세계가 주목하는 생태계 연구지역으로 만들어 놓았다." 휴전후 30여년이 넘도록 사람의 발길이 끊겼던 민통선(民統線) 북방지역은 한 마디로 자연생태계와 인간과의 관계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모델케이스였다. 사라져가는 희귀동식물이 도처에서 발견됐 ... ...
한국의 자연 대암산의 큰용늪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사람의 발길이 거의 미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늪지대─. 우리는 늪지대라고하면 아프리카나 아마존의 밀림을 연상하게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도 늪지대가 있다. 그것도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된 채로 있어 비록 한군데이기는 하나 자랑스런 국토의 일부가 되고 있는 것이다.관련학자를 비롯한 ... ...
이전
8
9
10
11
1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