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밝기"(으)로 총 854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꿀록 탐정, 수사에 나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입사되는 빛의 반만 반사하고, 나머지 반은 통과시키지요. 두 번째 비밀은 두 방의 밝기 차이예요. 반투명 거울을 중간에 놓고 한 방은 밝게, 다른 방은 어둡게 만들어요. 그러면 어두운 방에서는 밝은 방에서 빛이 많이 들어와서 밝은 방을 볼 수 있어요. 어두운 방에서도 밝은 방으로 빛이 들어가긴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NIRSpec)로 토성을 관측했다. 그 결과 삼원자수소 이온(H3+)의 방출선(파장 3.953μm, 3.622μm)의 밝기가 위도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H3+는 토성의 이온층을 이루는 주요 성분 중 하나로, 토성 대기가 태양빛을 받을 때 생겨난다. 그런데 관측해보니 H3+의 밀도가 위도에 따라 들쑥날쑥했다. 단순히 ... ...
- Part 1. 몸풀기 게임 진실 혹은 거짓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지구의 정지 궤도*를 돌며 거울처럼 태양빛을 지구로 반사시키면 보름달의 8배 정도 밝기의 빛을 청두시로 보내지요. 1990년대 러시아에서도 비슷한 실험을 2~3회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로 돌아갔답니다. *정지 궤도 : 위성의 공전 주기와 지구의 자전 주기가 같아서 지구에서 봤을 때 위성이 항상 같은 ... ...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별자리를 공개했지요. 우리에게 친숙한 바로 그 별자리예요. ●변광성 : 시간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항성. 현재 천문학 연구에서는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좌표계를 사용해요. 하늘을 가로와 세로로 나누어 각도를 표시하면 천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지요. 그러나 별자리는 여전히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이죠. 이에 모든 별이 일정한 거리에 있다고 가정하고 별의 밝기를 등급으로 매긴 것이 ‘절대등급’이에요. 태양의 경우, 겉보기등급은 -26.8등급이고 절대등급은 4.8등급이지요 ... ...
- [과학뉴스] ‘행성 사냥꾼’ 케플러, 임무 종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별 앞을 지나갈 때 생기는 미세한 밝기 차이를 측정해 외계 행성을 찾아요. 별의 밝기 차이에 따라 행성의 크기도 측정하지요. 케플러는 지난 9년 동안 태양 궤도를 돌며 태양계 바깥에 있는 외계 행성을 2662개나 확인했어요. 현재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의 약 70%를 찾아내며 ‘행성 사냥꾼’이란 ... ...
-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미시중력렌즈는 별 하나처럼 작은 질량의 천체에 의해 일어나요. 이 원리를 이용해 별의 밝기가 바뀌는 현상을 관측하면, 별과 지구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외계 행성을 찾을 수 있지요.Q관측을 위해 천문대를 가시지는 않나요?저희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호주, 칠레등 남반구의 세 나라에 ... ...
- Part 2. 농게 구애춤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구애춤의 모양은 게가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용도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또 주변의 밝기, 포식자의 유무 등에 따라 달라질 거라고 추측하고 있지요. 앞으로는 농게가 사는 환경과 비슷한 가상 세계를 만들어 놓고 구애춤의 모양이 어떤 요인에 의해 달라지는지 실험해 볼 거예요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를 만큼 ‘눈’이 밝다. 우주의 한 지점을 수개월 이상 바라보면서 항성이 내는 빛의 밝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측하는 방식으로 외계행성을 찾았다. 태양과 같은 항성은 핵융합을 통해 스스로 빛을 낸다. 그래서 이런 항성 앞으로 행성이 지나가면 빛이 일부 차단되면서 항성이 깜빡거리는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복잡한(?) 숫자가 포함된 이유는 1 칸델라의 영속성이 유지되도록, 밝기가 양초 1개의 밝기와 유사하게 정의했기 때문이다. 683은 와트라는 일률의 단위와 그것을 보는 눈의 응답을 연결하는 상수(Kcd)에서 왔다. CIE는 여러 가지 단색 빛에 반응하는 눈의 반응을 종합해 ‘표준관찰자 시감효능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