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밝기"(으)로 총 85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구름,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만에 의 개정판을 냈어요. 1896년 처음으로 출판된 국제구름도감은 형태와 밝기, 구조, 높이 등으로 구름을 분류해 정리한 구름 안내서예요. 이번 개정판에는 총 12개의 구름이 새로 추가됐는데, 이 가운데 가장 화제를 모은 것은 ‘아스페리타스’라는 구름이에요. 라틴어로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복잡한(?) 숫자가 포함된 이유는 1 칸델라의 영속성이 유지되도록, 밝기가 양초 1개의 밝기와 유사하게 정의했기 때문이다. 683은 와트라는 일률의 단위와 그것을 보는 눈의 응답을 연결하는 상수(Kcd)에서 왔다. CIE는 여러 가지 단색 빛에 반응하는 눈의 반응을 종합해 ‘표준관찰자 시감효능 ...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촉매를 만들 수 있다. 220종의 촉매에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형광물질을 첨가해 빛의 밝기를 비교하고 최적의 비율을 찾아 나간다. 시료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섞는 ‘로보틱 프린터’를 이용해도 꼬박 일주일이 걸린다. 연구진은 일주일 뒤 또 다른 금속을 또 다른 비율로 섞기를 반복하며 ... ...
- [Culture] ‘시험의 계절’ 10월을 위한 공부 팁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색상별로는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순서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색상의 밝기가 학습에 분명히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하는 결과”라며 “벽지 색깔이 선명할수록 이해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색상이 인체의 생리적, 감정적인 반응을 자극해서 집중력을 ... ...
- Part 2. 휘황 찬란한 빛의 위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본능적으로 빛에 끌린다는 추측이 있지요. 대도시의 불빛은 수백km 밖에서도 보일 정도로 밝기 때문에 밤에 이동하는 새들이 여기에 이끌릴 수 있답니다. 먼 거리를 이동하는 새들은 에너지를 아끼며 효율적으로 비행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런데 새가 불빛에 이끌려 도시로 가는 바람에 이동 경로가 ... ...
- [Interview] "박쥐 같은 학문 바이오피직스로 면역항암제 개발 길 열 것"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각각에 색이 다른 형광 물질을 부착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거리에 따라 두 형광 물질의 밝기가 달라지고 그 결과 색깔이 바뀌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분자들의 상호작용을 예상할 수 있다. 하 교수는 단백질 등 다양한 실험 분자에 형광 물질을 부착한 뒤, 이것들을 DNA 이중나선에 하나씩 붙여 가까운 ... ...
- Part 4. 별별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검증하는 역할을 해요. 한편 행성 사냥꾼 프로젝트는 시민과학자들이 직접 중심별의 밝기 변화를 감지해 외계행성을 찾아낸답니다.Q‘외계행성 탐험가’ 프로젝트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 주세요.케플러 우주망원경이 보내온 데이터를 시민들과 함께 분석하는 프로젝트예요. 현재까지 94개의 ...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관측하지 못했어요. 이런 별들은 행성이 가려도 크게 어두워지지 않아 케플러가 빛의 밝기 변화를 알아채지 못했거든요. 앞으로 TESS는 케플러가 확인하지 못했던 중심별들을 집중적으로 관측할 계획이랍니다. TESS의 목표는 골디락스 존에 위치하며, 단단한 지각을 가진 외계행성을 최대한 많이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디스플레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LCD)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비해 밝기가 뛰어나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응답 속도가 빠른데다, 수명이 길고, 대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등 장점이 많습니다.특히 최근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시장이 커지면서, 기존 디스플레이로는 사실적인 ...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별 앞으로 지나갈 때 행성에 가려져 빛의 밝기가 살짝 어두워진다. 테스는 중심 별의 밝기와 위치를 관측하면서 그 값이 미세하게 달라지는 순간을 포착해 외계행성을 찾는다. 케플러가 찾아낸 2652개의 외계행성도 통과 측광법으로 발견했다.다만 테스에게 주어진 시간은 짧다. 케플러는 약 9년간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