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슈퍼M] 시력 1.0 이 이라는건 무슨 뜻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있는 원 모양의 고리를 사용하자고 제안했어요. 고리의 위, 아래, 오른쪽, 왼쪽 중 어느 방향이 끊어져 있는지를 먼 거리에서도 알아볼 수 있는지에 따라 시력을 측정하는 거예요. 글자나 숫자를 모르는 사람도 쉽게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요. 이 고리는 에드먼드 란돌트의 이름을 따서 ‘란돌트 ... ...
- [도전!체스 마스터] 대각선 끝까지 장악하라! 비숍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그 자리에서 잡거나 그 앞에서 멈춰야 해요. 공격과 수비를 한 번에!비숍은 대각선 방향에 다른 기물이 없다면 상대 진영의 가장 깊숙한 곳까지도 갈 수 있어요. 특히, ‘피앙케토’를 활용하면 비숍은 체스판을 가로지르는 두 대각선을 모두 장악할 수 있어요. 피앙케토란, 흰색 팀이라면 비숍을 b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내비게이션, GPS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혼다가 개발한 ‘일렉트로 자이로케이터’였어요. 작은 기계에 필름 지도를 끼우면, 방향을 가리키는 자이로스코프가 현재 위치를 불빛으로 보여줬습니다. 현대의 내비게이션에는 전자 지도와 GPS, 두 가지 요소가 필요합니다. 먼저 전자 지도는 각종 지리 정보를 모아놓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을 ... ...
- [르포] '씨즈' 숏다큐 : 물에 잠기는 도시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고백했다. 뉴욕시 1년 예산에 맞먹는 돈이다. 시정부 내외에서 나오는 대안의 방향은 크게 세 가지다. 하나는 소규모 배수시설을 늘리는 것이다. 대표적인 게 그린인프라다. 비영리 도시계획 연구기관 RPA는 바이오 스웨일(빗물을 모으는 조경 시설)을 포함한 그린 인프라를 통행로의 5%까지 늘리면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계산할 수 있으면 원하는 사회적 현상을 이루기 위한 개별 행동규칙을 설계하는 역방향의 접근도 가능합니다. 이번 연구는 비상 항공기에 길을 터주는 ‘응급도 관리’, 관제탑의 핵심인 ‘충돌 방지’ 기능의 분산형 관제시스템을 제안합니다. 이 연구는 내쉬균형에서 응급도 관리, 충돌 방지가 ... ...
- 인공지능이 지켜준다, 스마트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30장씩 사진을 찍어 분석기에 보내면, 분석기는 사진들을 비교해 사람이나 차량이 이동한 방향과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이어 “이를 통해 어린이보호구역 등에서 차량이 과속을 하는지, 보행자가 무단횡단을 하는지, 자동차가 불법 주차를 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지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달을 직접 빚어보자! 달의 모양을 관찰해 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지금까지는 관측할 수 없었던 곳이죠. NASA는 “사진을 보면 화살표 왼쪽에 세로 방향으로 희미하게 금이 가 있는데, 이는 가장자리 벽을 타고 흙과 암석이 굴러 내려온 흔적”이라고 설명했어요. 이어 “이런 사진을 통해 과학자들은 달의 암석 형태와 토양 특성을 추정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
- 물리와 수학의 가교를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간단하게 수학 난제를 풀었다’며, ‘그의 논문은 수학자와 물리학자 모두에게 다양한 방향으로 자극을 줬다’고 말했어요. 업적 2. 수학 문제의 새로운 도구, 자이베르그-위튼 이론 위튼 교수는 100만 달러의 상금이 걸린 밀레니엄 난제인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에 관한 업적도 세웠어요. 양 ... ...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그래서 제작진이 육각형을 이용해 게임을 만든 것 같아요. 가로뿐 아니라 대각선 방향이 다양하게 나올 수 있거든요. 그러면 머릿속에서 정보를 나열하는 과정이 굉장히 복잡해지죠. 잘 만든 게임이라고 생각해요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단순히 위치만이 아니라 자세 파악도 중요하다. 같은 위치에 있더라도 어떠한 방향과 각도로 위치하는지 알아내는 것은 여러 관측과 항법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자동차나 비행기는 지구의 중력과 나침반을 활용해 자세를 파악하지만, 우주선이나 위성은 그렇게 할 수 없어 다른 방법을 쓴다. 바로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