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난이도가 높기로 악명이 높았다. 짧은 반복 서열은 물론 긴 반복 서열, DNA 염기서열이 역방향으로 반복돼 ‘토마토’ ‘기러기’처럼 앞으로 읽으나 뒤로 읽으나 똑같은 ‘회문’ 배열까지 해독 난이도 최상급의 반복 서열이 모여 있었기 때문이다. 2023년 8월, T2T 컨소시엄은 기존 Y 염색체의 오류를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계산할 수 있으면 원하는 사회적 현상을 이루기 위한 개별 행동규칙을 설계하는 역방향의 접근도 가능합니다. 이번 연구는 비상 항공기에 길을 터주는 ‘응급도 관리’, 관제탑의 핵심인 ‘충돌 방지’ 기능의 분산형 관제시스템을 제안합니다. 이 연구는 내쉬균형에서 응급도 관리, 충돌 방지가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달을 직접 빚어보자! 달의 모양을 관찰해 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지금까지는 관측할 수 없었던 곳이죠. NASA는 “사진을 보면 화살표 왼쪽에 세로 방향으로 희미하게 금이 가 있는데, 이는 가장자리 벽을 타고 흙과 암석이 굴러 내려온 흔적”이라고 설명했어요. 이어 “이런 사진을 통해 과학자들은 달의 암석 형태와 토양 특성을 추정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
- [르포] '씨즈' 숏다큐 : 물에 잠기는 도시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고백했다. 뉴욕시 1년 예산에 맞먹는 돈이다. 시정부 내외에서 나오는 대안의 방향은 크게 세 가지다. 하나는 소규모 배수시설을 늘리는 것이다. 대표적인 게 그린인프라다. 비영리 도시계획 연구기관 RPA는 바이오 스웨일(빗물을 모으는 조경 시설)을 포함한 그린 인프라를 통행로의 5%까지 늘리면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빛이 어떤 물질을 만나게 되면 굴절이라는 현상을 통해 휘어지는데요. 이때 빛이 온 방향으로 굴절하는 ‘음의 굴절’이 일어나도록 만들면 됩니다. 그러면 빛이 크게 휘면서 관측 대상을 지나쳐 뒤에 있는 사물에 부딪히고, 그럼 결국 우리 눈에 들어오는 빛은 관측 대상 뒤에 있는 사물에서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탑재한 의료용 로봇을 움직이는 원리다. 자기장을 제어해 로봇을 몸속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박 교수는 “몸속에서 의료용 로봇을 움직이기 위해 로봇에 모터나 와이어를 달아보기도 하고, 아예 기어가는 로봇을 설계해 보기도 했다”며, “여러 번의 실험 끝에 자기장과 자석을 ... ...
- 주스, 목성까지 가는데 8년이 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중력에 끌려 들어가며 속도가 빨라질 거예요. 중력 도움은 우주선이 행성의 공전 방향으로 행성을 탈출하며 추진력을 얻고 궤도를 조정하는 비행 방식이에요. 주스는 중력 도움 방식으로 금성을 한 번, 지구를 세 번 선회한 뒤 추진력을 얻어 2031년 7월 목성 궤도에 진입합니다. 이후 유로파와 ... ...
- [특별기고] 수학적 사고력 고루 평가하는 수능 되길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시험이에요. 앞으로 수능이 학생의 수학적 사고력을 고루 키워줄 방향으로 나아가 미래사회 인재를 키워낼 수 있길 바랍니다. 배우는 재미 일깨우는 시험이라면? 시험의 목적은 다른 사람과의 경쟁보다도 자신의 성취를 확인하는 것에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 ...
- [최신 이슈] 양자컴퓨터 만들 새로운 플랫폼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받아 방향이 결정되죠.” 즉, 전자 하나의 스핀 방향이 정해지면 다른 전자들의 스핀 방향이 자동으로 정해지는 성질을 이용해 큐비트를 구현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단일 원자 전자스핀 플랫폼을 활용해 큐비트를 원격으로 조정하는 데도 성공했다. 산화마그네슘 표면 위 여러 타이타늄 원자들을 ...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박 박사의 학부 전공은 물리학이었지만, 대학원에서 미세유체를 다루는 의공학으로 방향을 틀었다. 스탠퍼드대 의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혈액 진단 기술을 연구하던 그에게 스마트 변기란 아이디어가 찾아온 것은 2018년, 스승 고(故) 샌지브 갬비어 스탠퍼드대 의대 영상의학과장 덕분이었다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