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이러스
병독
세균
비루스
d라이브러리
"
병원체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직장을 넘보는 암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음식을 즐기는 식습관 때문에 병에 걸린다. 그에 못지 않은 문제가 담배(25~30%)다. 이어서
병원체
감염(15~20%), 비만10~20%), 음주(4~6%)가 뒤를 잇는다.직업(4%)과 환경(2%)은 그 다음이다.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도 직업성 암 비율을 4%로 추정하고 있다. 비율은 낮지만 암 환자 수를 고려하면 ... ...
주삿바늘 없는 독감 백신 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플루미스트가 생백신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생백신은 독성은 없지만 살아 있는
병원체
를 약물로 쓰기 때문에 이 약물이 기관지에 묻으면 48시간 안에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신호물질인 사이토카인이 분비된다. 사이토카인은 하나의 항원에만 대항하는 항체와 달리 면역체계 전체를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밀도가 높다.밀도가 높으면 우선 질병에 취약하다. 특히 같은 종이한 데 모여 있으면
병원체
입장에서는 천국이다. 감염할 숙주가 줄줄이 옆에 대기하고 있어 병을 퍼뜨리기 최적의 조건이기 때문이다. 국립수의과학감역원 꿀벌질병관리센터는 지난 5월 낭충봉아부패병에 걸린 애벌레 한 마리가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동하는 걸 방해했던 것.요거트 광고로 우리에게도 익숙한 이름인 비피더스균은 인체가
병원체
의 공격을 막는 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몰랐다. 이 연구에는 메타유전체 데이터가 큰 도움이 됐다고 한다. 두 번째 인간게놈프로젝트인 HMP가 완성될 무렵에는 이런 연구 ... ...
흙은 살아 숨 쉬며 움직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셈이다. 이로운 생물들은 비타민이나 항생물질(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등) 같은
병원체
억제물질을 만들어 흙을 비옥하게 가꿀 뿐 아니라 식물을 건강하게 지켜준다. 이로운 생물이 많으면 해로운 생물이 삼출액과 양분을 차지하려는 경쟁에서 밀린다. 화학비료도 해롭긴 마찬가지다. ... ...
개미 세계의 진정한 영웅 납시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잠깐! 그렇다고 꼭 개미가 이타적인 건 아니에요! 동물을 다른 장소로 가게 조종하는
병원체
도 있다고요….그래서 연구팀은 다시 개미를 이산화탄소에 노출시켜서 죽게 만드는 실험도 했어요. 그런데 이 때에도 개미들은 죽기 직전 무리를 떠났다고 해요. 어때요? 동료와 무리를 죽음의 위험에서 ... ...
수학으로 산호가 아픈 이유 알아 내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온도가 높아지면 산호에 사는 유익한 박테리아가 스트레스를 받아 산호를 병들게 하는
병원체
로 바뀐다는 것을 알아 냈습니다.연구자들은 물의 온도를 달리하여 박테리아의 움직임을 살펴보았습니다. 실험결과 물의 온도가 차가워지기 전까지 계속해서 박테리아가 변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
줄기세포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지방 제공자에 대한 엄밀한 건강 검진과 제조 과정에서
병원체
제거작업이 필수”라고 말한다. 또 동물에서 추출한 각종 첨가물질을 세포 조작 및 배양 과정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알레르기를 유발하거나 인수공통 전염병을 전파할 우려도 제기된다.식품의약품안전청은 ... ...
날씬한 몸매 가진 해면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해면은 다량의 바닷물을 흡수한 뒤 그 안에 있는 미생물을 걸러먹기 때문에 독소나
병원체
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며 “체내에 독소를 남기기 않기 위해 깃세포를 빠르게 증식시키는 동시에 떼어내 버리는 것 같다”고 해석했다.연구진은 이런 현상이 해면 전체의 일반적인 현상인지, 특정 종만 ... ...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분비해 킬러 T세포와 B세포의 활성을 증대시킨다.킬러 T세포는 세포독성 물질을 분비해
병원체
에 감염된 세포를 죽이거나 식균작용으로 항원을 직접 제거한다(세포성 면역). B세포는 항체를 분비해 항원의 활성을 저해한다(체액성 면역). 이때 조절 T세포는 이런 면역 과정을 적절히 조절한다.백신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