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병원체"(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충분히 조사, 연구하고 적절한 예방백신과 치료약을 개발하면 메르스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도 잘 길들일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완치된 사람의 혈장을 투여하는 ‘혈장주입치료법’도 있다. 완치된 사람의 혈장에는 병원체에 대한 항체가 존재한다. 여기서 항체를 따로 분리해 대량으로 만들어내면 치료제가 된다. 하지만 항체를 분리해 배양하고, 또 임상실험까지 마쳐 치료제를 생산하는 데에는 적어도 5~10년은 걸린다. 지금 ... ...
- 에볼라 No! ‘필로바이러스 관련 출혈열2’라고 불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증상(호흡기 질환, 수인성 설사 등)이나 환자의 특징(청소년, 산모, 계절성, 해안성 등), 병원체 등에 기반해 새로운 질병의 이름을 지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에볼라 바이러스를 ‘필로바이러스 관련 출혈열2’로 부르는 식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앞으로 질병 이름 짓기가 어려워지고, 질병을 구분하기 ... ...
- [Hot Issue]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형태로 만든 빨간약을 목안에 뿌리면 된다. 아데노바이러스, 단순포진, 녹농균 같은 병원체를 죽여 인후염을 막을 수 있다. 바르는 빨간약보다 농도는 훨씬 낮지만 살균력은 우수하다. 구강청정제로 쓸 수도 있다. 어떻게 빨간약으로 가글을 할까 싶지만, 김하연 한국먼디파마 홍보부장에 따르면 ...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탄저균, SARS, 코로나 바이러스 등 4등급 발병했을 경우 증세가 치명적이며 치료가 어려운 병원체는 반드시 이곳에서만 실험. 천연두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등 BL3 보호복 머리에서 발끝까지 흰색 보호복을 착용. 바이러스를 거를 수 있는 N-95마스크 착용. BL3+ 안면부밀폐 복장은 BL3와 동일.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모기가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된 뒤, 동물이나 사람의 피를 빨면서 자기 몸에 들어온 병원체를 쉽게 전달하는 것이다. 옮기는 병도 가지각색이다. 황열, 뎅기열, 치쿤구니아, 뇌염, 웨스트나일열, 사상충증 등이 모기를 통해 전염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삼일열 말라리아와 일본뇌염이 문제다 ... ...
- [Knowledge] 질병은 적인가 동지인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근거한 것이다. 질병=악’ 관계 변화 중최근 많은 과학자들은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에 대한 완전한 박멸과 제거는 불가능한 일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 그 대안으로 공존의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한 예가 인간의 몸, 정확하게는 인간의 장내에 존재하고 있는 미생물체(이를 ‘마이크로바이옴 ...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시작한 것이다.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철새는 그동안 AI ‘셔틀’ 역할만 했다. 병원체를 몸 안에 가지고 있지만 겉으로는 아무런 증상이 없었다는 말이다. 전문용어로 ‘보균자’라고 한다. 이번처럼 보균자인 철새가 집단으로 죽은 사례는 세계적으로 처음이다. 이것만으로도 이번 사건은 ...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정상적으로 면역반응이 일어나 체온이 1~2℃ 추가로 상승한다. 동면 중 몸으로 들어온 병원체를 각성기 때 한꺼번에 몰아서 처리하는 것이다.잠자면서 다이어트한다우리 연구실에서는 각성까지 포함한 겨울잠유도실험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겨울잠 실험은 대개 각성을 포함하지 않았는데 한 단계 ... ...
- 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방법도 포함한다. 치료에는 항바이러스제, 항생제, 항체 등을 사용한다. 생물무기는 어떤 병원체인지, 언제 어디서 사용한 것인지 확인이 어렵고 은밀하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관건이다.지금까지 알려진 생물무기 중 가장 파괴력이 큰 탄저균과 천연두바이러스 모두 백신이 개발돼 있으나 두 종류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