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북두성
칠성
쟁기
d라이브러리
"
북두칠성
"(으)로 총 100건 검색되었습니다.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스피카가 그 아래에서 반짝인다.
북두칠성
과 큰곰자리는 북쪽 하늘에 높이 떠있다.
북두칠성
의 손잡이 아래에서 외롭게 빛나는 사냥개자리의 콜카 롤리는 봄철의 정삼각형과 만나 '봄철의 다이아몬드(혹은 처녀 다이아몬드)'로 불리는 5월의 이정표를 만든다. 처녀자리의 작은 별들은 스피카와 함께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것이다. M101은 약 1천5백만 광년 떨어져 있고, 그 직경만 10만 광년이 넘을 것이다. 이것은
북두칠성
손잡이 주위에 넓게 산재해 있는 큰 은하들 가운데 하나다.이 지역의 유명한 또 하나의 은하는 M63이다. Sb형 은하인 M63은, 사냥개 자리의 18 19 20번과 23번 별로 이루어진 5~6등급의 별무리에서 1.5˚북쪽에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내인데 예외적으로 1.5등급 정도인 것도 있다. ■소용돌이 은하(The Whirlpool Galaxy, M51)
북두칠성
의 손잡이 아래쪽 사냥개자리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소용돌이 은하'로 불린다. 이것은 1845년 로드 로제(Lord Rosse, 1800~1867, 영국 천문학자)에 의해 밝혀진 최초의 나선 은하이다. 이 은하의 특징은 나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중성 관측에도 이용된다. 백조자리 베타(β)성인 알비레오(Albireo)나 큰곰자리의
북두칠성
손잡이에 해당하는 미자르(Mizar)와 알코어(Alcor), 오리온자리 델타성들은 쌍안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쌍안경은 시야가 넓고 밝으며, 사용이 간편하고, 운반이 쉬우므로 천체 관측시에 꼭 필요한 장비다. ... ...
2월의 밤하늘 광기어린 늑대별과 귀여운 애완견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있었던 별자리 조차도 찾기 힘들 정도로 혼란스러울 때도 있다. 그렇지만 큰곰자리의
북두칠성
이 제법 높이 올라와 있고 겨울의 왕자 오리온이 그 위용을 자랑하므로 이 두별자리를 먼저 찾아 감각을 익히는 것이 필요하다.겨울철의 대삼각형남쪽하늘에서 당당한 위세를 떨치는 오리온자리의 ... ...
남쪽하늘의 거대한 방패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위해 고개를 돌려 하늘을 한번 휘저어 보자. 그러다 보면 우리눈에 너무나도 친숙한
북두칠성
이 지평선에서 고개를 내민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눈은 자연스레 국자끝을 따라 북극성에 연결되고 다음엔 W자 모양의 카시오페이아를 찾을 수 있다. 카시오페이아는 목이 뻐근할 정도로 젖혀야 보일 ... ...
하늘이 지구를 양육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것은 누구나 알 것이다. 이와 비슷한 것이 남쪽하늘 궁수자리의 남두육성(Milk Dipper)이다.
북두칠성
과는 달리 국자의 자루 부분에 별이 두개 밖에 없어 '육성'(六星)이다. 은하수 주변에는 많은 성운성단들이 산재돼 있다. 쌍안경을 준비하면 더욱 많은 즐거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네온이나 밝은 ... ...
호먼궤도를 이용하라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가장 밝은 목성의 밝기 정도)으로 빛나며 멀리 떨어져 있을 때는 1.8등급(북극성과
북두칠성
의 밝기)까지 어두워진다.화성은 지구 다음으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표면온도가 영하 80˚C에서 영하 30˚C를 오르내리고 기압은 7~8mb.평균 풍속은 약 5m/sec정도이다. 지구보다 중력이 ... ...
즐겁고 유익한 여름을! 자연관찰을 위한 안내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볼 수 있는 것으로는 북극성
북두칠성
'카시오페아' '케페우스' 등을 꼽을 수 있다.
북두칠성
은 초저녁부터 북서쪽 하늘에 떠있으며 반대편 북동쪽 하늘엔 W자모양의 '카시오페아'자리가 있다. 별자리는 지구의 자전에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지기 때문에 사진기를 활용하면 이들의 움직임을 사진에 ... ...
핼리혜성 다시오다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맑은 날씨에도 3등성은 돼야 희미하게나마 보이는게 현실이다. 예를들어 2등성인
북두칠성
도 맑은 날씨에야 뚜렷하게 보인다. 결국 핼리의 모습을 직접 보자면 어둡고 공해가 없는 시골로 내려가야 한다. 또한 이번 핼리회귀는 남쪽지방으로 가야만 관찰이 용이하다. 중부이남의 한적한 ... ...
이전
6
7
8
9
10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