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북두성
칠성
쟁기
d라이브러리
"
북두칠성
"(으)로 총 10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중성알비레오, 환상적자태자랑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크기로 보여질 것이다. 북쪽의 밤하늘 마차부자리의 카펠라가 지평선으로 지려하고
북두칠성
이 서쪽으로 자리를 옮겨 적당한 고도를 유지함으로써 큰곰자리에 위치한 여러 외부 은하들을 관측하기에 적당하다. 눈길을 동쪽으로 돌려보면 어느덧 세개의 1등성이 삼각형 모양을 이룬 채 떠올라 ... ...
남쪽 밤하늘 황도 12궁이 지배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고도가 높아져 천정을 감싸는 모습이다. 북쪽의 밤하늘이달 정북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북두칠성
은 큰곰의 엉덩이와 꼬리에 불과하다. 큰곰자리를 구성하는 모든 별들을 찾아서 연결해보면 굉장히 큰영역에 걸쳐져 있는 별자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북극성의 좌우에 위치하는 마차부자리의 알파성 ... ...
하늘에 떠있는 별들의 절반은 짝별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변화가 없다.③ ζ(별) UMa(별자리) 2.4+4.0(광도) 14.4(분리각) 151(위치각) 1967(연도) : 미자르
북두칠성
의 중심부에 있기 때문에 망원경을 처음 사용하는 초보자들에게 이상적. 장엄한 이중성으로 볼 수 있다. 육안으로도 볼 수 있다. 옛날 사람들은 이 별로 시력을 측정하기도 했다. 미자르는 망원경으로 ... ...
새벽 동쪽 하늘의 수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밤하늘1일 : 오후 9시15일 : 오후 8시30일 : 오후 7시동쪽으로 치우친 곳에는 국자 모양의
북두칠성
이 완전히 엎어진 모습을 하고 있어 국자안의 내용물이 모두 땅으로 쏟아질 것만 같은 느낌이다. 이 국자의 손잡이가 만드는 곡선을 따라 동쪽으로 이동하면 밝은 1등성 하나가 보인다. 목동자리의 ... ...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설명할 수 없음을 알아냈다. 2월 북쪽 밤하늘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별자리인 큰곰자리의
북두칠성
이 동쪽에서 국자의 바가지를 하늘로 향하여 서있고, 서쪽에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W자 모양이 엎어진 모습에서 똑바른 모습으로 되돌아가려는듯이 점점 북극성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다. 위의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있는 별자리 중의 하나다. 카시오페이아는 북극성을 찾기 위한 별자리로도 이용된다. 즉
북두칠성
이 지평선 아래에 있거나 완전히 모습을 나타내지 못한 경우에 위의 성도에서 표시한 방법으로 북극성을 찾을 수 있다.1월 남쪽 밤하늘1일 : 밤9시15일 : 밤8시30일 : 저녁 7시 서쪽으로 치우친 곳에 밝은 ... ...
소백산천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초신성사진이 국내 각 일간지 1면에 실린 일이 있었다. 국제천문연맹(IAU)은 지난 3월31일
북두칠성
근처에 있는 M81이라 불리는 은하 근처에서 밝은 초신성이 발견됐다고 긴급 전문을 보내왔으며, 우리나라 천문대에서도 61cm 광학망원경으로 4월1일과 2일 새벽에 걸쳐 이 초신성을 촬영한 것.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하더라고 극축은 진북을 향하고 있지 않다.진짜 북극은 (그림 4)와 같이 큰곰자리의
북두칠성
끝에 있는 η성 방향으로 약1° 가량 기울어져 있다. 파인더의 시야는 보통 약6°이므로 3°의 반경에서 1/3정도 카시오페이아자리의 ε별쪽으로 북극성을 기울인다(극축조절장치를 이용해서). 단 파인더의 ... ...
지중해를 지배하는 물의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다른 계절에 비해 뚜렷하게 밝은 별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북쪽하늘에는 국자 모양의
북두칠성
이 지평선 아래로 모습을 감추고 있고 동쪽하늘에는 아직 화려한 겨울의 1등성들이 보이지 않는다. 머리 위에 높이 떠 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페가수스만이 가을밤의 길잡이로 남아 그 주변에 흩어져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밤하늘은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까. 혹시 도심에서도 선명하지는 않지만 이미 잃어버린
북두칠성
을 되찾을 수 있지 않을까. 어두운 시골에서의 관측법과 도시에서의 관측법은 어떻게 다를까. 도심 관측이 어렵다면 어느 정도 교외로 나가면 별 하나 나 하나를 세며 머리위로 쏟아져 내려오는 별들의 ... ...
이전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