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심
참마음
진의
진정
속마음
본심
실망
d라이브러리
"
실의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음 읽고 배려하는 '똘똘한 칩'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그린 것이지만 그리 먼 미래의 이야기는 아니다. KAIST 전자전산학과 반도체시스템연구
실의
유회준 교수는 “안경처럼 쓰고, 손목에 차거나 허리에 두르는 ‘입는 컴퓨터’(wearable computer)의 시대가 오고 있다”고 말한다. 지금까지 컴퓨터는 사용법을 배운 사람만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미래에는 ... ...
꺼진 연구 불 지핀 톰슨과 크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어릴 적 다쳤던 왼쪽 팔꿈치가 사용하기 힘들 정도로 뻣뻣해지자 그마저도 중단했다.
실의
에 빠진 그에게 새로운 세상으로 길을 열어준 것은 종교였다. 가톨릭에 심취하게 된 그는 신학과 순수철학을 연구했고 1857년에는 런던에서 ‘유신론 철학’이란 책을 출간해 약간의 수익을 얻었다. 운 좋게도 ... ...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못박았다. 치료 가능성에 좀더 신중해야한국과학기술원(KAIST) 분자유전학연구
실의
한 연구원은 “각인 현상을 확인할 때 중요하게 쓰이는 유전자로 황 교수팀이 검사한 H19 외에 IGF2도 있다. 논문 제출 당시 황 교수팀은 이것도 검사했어야 하고, 검사한 유전자의 다형성, 메틸기가 붙은 위치 등도 ... ...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특히 하퇴(정강이)의 근육이 크고 아래로 길게 붙어 있다. 자신이 조선무 다리라고
실의
에 빠진 여자들이 있다면 이제부터 자부심을 가져보자. 한국 여자골프의 힘은 ‘롱다리, 쇼트허리’가 아니라 조선무 다리와 롱허리에서 나왔다는 사실을 상기하면서. 체간부, 말단부: 척추동물에서 몸의 ... ...
과학은 최고의 명탐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번호판은 보지 못했다고 했다.하지만 걱정은 금물!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영상분석
실의
영상 향상·복원 기법을 통해 자동차의 번호를 알아 낼 수 있었다.이제 범인은 거의 잡힌 거나 다름없다. 밝혀진 자동차 번호를 검색하면 곧바로 자동차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아 낼 수 있으니까 말이다. 차량 ... ...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것”이라고 설명한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경제·경영예측연구
실의
차경천 박사도 주가 예측이 가능하냐는 질문에 선뜻 확답을 않는다.“과학적 예측에는 모델이 필요해요. 예를 들어 특정 지역 사람들이 얼마나 빨리 신상품을 구입할지를 예측하려면 바이러스 확산 모델을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기본 틀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소리를 따라할 수 있다.한국교원대 동물행동학연구
실의
성환철 박사는 “원래부터 ‘비-- 삐빅 삐비빅’하고 우는 휘파람새가 종의 기본 소리 ‘비--’를 버릴 수는 없다. 앞부분은 서로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남겨둔 채 외부의 소리를 이용해 ‘삐빅 ... ...
짝짓기를 위해 암컷으로 변장하는 호주 오징어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사실이 과학학술지 ‘네이처’ 1월 20일자에 소개됐다.미국 우드홀 해양생물학실험
실의
해양생물학자 로저 핸론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수천 마리의 호주 오징어를 몇 년 동안 관찰했다. 호주 오징어의 수컷 수는 암컷에 비해 4배나 돼 수컷은 짝짓기를 하려면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한다. 실제 짝짓기에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늦은 시간까지 불을 밝히고 초조한 마음으로 실험결과를 기다리던 KAIST 혈관내피연구
실의
조정현 박사와 석사과정 학생 김경은씨는 서로 마주보며 환한 미소를 지었다. 현미경에 연결된 모니터에 생쥐의 기관지와 귀의 모세혈관에서 마치 나뭇가지처럼 새로 자라고 있는 혈관의 모습이 선명하게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변성할 염려가 있는 단백질이나 핵산 등 생체고분자 물질의 분리에 많이 이용된다회전
실의
온도를 -20℃까지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 있고 시료를 연속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것도 있다음극을 가열하지 않고 작동하는 방전관 네온관·정전압(定電壓) 방전관·크세논 방전관 등이 이에 속한다열음극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