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심
참마음
진의
진정
속마음
본심
실망
d라이브러리
"
실의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에 대한 호기심을 풀 장소가 정해졌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수년간의 논의 끝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화성과학실험
실의
착륙 후보지를 좁혔다. ‘큐리오시티(호기심)’라고 이름 붙은 25억 달러짜리로버는 2년간의 임무 수행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큐리오시티 로버가 착륙할 장소는 과거에 살았거나 현존 미세생물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 곳이다. ...
후크송은 왜 뇌를 중독시킬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더 세련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과학동아는 충북도립대 정보통신과학과 생체신호분석
실의
조동욱 교수에게 의뢰해 케이팝 후크송의 중독성을 분석했다. 그는 안정도에서 답을 찾았다. 안정도는 ‘유성음(가사가 나오는 부분)’과 ‘무성음(가사가 나오지 않는 부분)’의 비율을 뜻한다. 적당히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 기술을 개발한 한국 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연구
실의
김용철 박사와 김용제 박사다. 지하수 인공함양시스템은 여름철 비가 많이 올 때 넘치는 물로 지하수를 채워주는 기술이다. 홍수를 막기 위한저류지와 연계하면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 동시에 ... ...
Part 3. 디지털포렌식, 산업스파이를 잡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말했다. 천안함이 침몰하던 당시의 영상복원, 론스타 외환은행 불법 매각 사건, 총리
실의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 등 다양한 수사에서 이미 디지털포렌식을 활용했다.범죄의 양상이 달라져 디지털포렌식의 범위도 훨씬 넓어지고 있다. 고려대 디지털포렌식연구센터의 이상진 교수는 “범죄자들은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가운데 가장 드라마틱한 삶을 산 사람은 누구일까. 스위스 특허사무
실의
무명 직원에서 상대성이론을 발표해 일약 세계 최고의 물리학자에 오른 아인슈타인일까. 독일군의 암호를 해독하고 컴퓨터의 기초를 다졌지만 동성애로 비난받다 자살한 앨런 튜링도 떠오른다.이들처럼 대중에게 잘 알려진 ... ...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기자들은 입을 다물 수가 없었습니다. 천장이 온통 수학 모빌로 장식돼 있었거든요. 과학
실의
해부 모형이 절대 부럽지 않을 만큼의 수학 교구들이 선반을 가득 메우고 있어 다시 학생으로 돌아가고 싶을 정도였다니까요! 지곡초에서는 수학동아 2010년 12월호의 특집기사 ‘대칭으로 풀어본 ... ...
공주는 왜 해적이 됐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해적선을 보호하고 있다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혹시나 해서 공주님이 주신 모로코왕
실의
퍼즐과 탈출경로를 포도주병에 넣어 바다에 띄웠죠.”“핫산, 당신이 그런 건가요?”“공주님께서 왕실을 위해 위험에 뛰어든 것을 아는데, 가만히 있을 수만은 없었습니다. 죄송….”“해적들이 오기 전에 ... ...
뇌 기계 접속 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나 움직이지 않는다. 2010 년 교통사고를 당해 전신마비 환자가 됐기 때문이다. 6년간
실의
에 빠져 살았지만 4년 전부터 삶이 크게 달라졌다. 뇌 기계 접속 (BMI) 기술 덕분이다.어머니는 아침마다 날 휠체어에 옮겨 앉 힌 후 머리에 BMI 헬멧을 씌워준다. 집안 에 있는 여러 기계장치를 생각만으로 조작 ... ...
“세계 비소 오염 우리가 책임집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의해 간, 신장, 피부에 암을 일으킨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환경공학부 토양환경연구
실의
김경웅 교수는 토양 및 지하수의 비소 오염을 조사하고 환경을 복원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비소 오염은 주로 폐광산 주변에서 많이 일어난다. 폐광에서 유출된 비소는 지하수와 토양에 스며들어 물과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존재하는 근접장(near-field)에 있습니다.”광주과학기술원 고등광기술연구소 나노광학연구
실의
정문석 책임연구원이 소멸파를 진행파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 이렇게 답했다. 나노광학연구실에서는 소멸파를 활용해 나노크기의 입자를 확대해 볼 수 있는 광학현미경을 만들고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