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의"(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의 자전을 밝힌 무리수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조금씩 돌아갔다. 이론적으로 공기의 저항을 무시하면, 진자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과 실의 장력뿐이므로 진자는 일정한 진동면을 유지해야 한다. 그런데 진동면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고 있다면? 이것은 결국 땅이 회전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즉, 지구가 돌고 있는 ... ...
- [수학뉴스] 세계 나무의 반이 사라졌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얼마나 많은 나무가 살고 있을까요? 미국 예일대 숲환경학교실의 토마스 크라우서 박사팀은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자료를 모아 지구상에 나무가 무려 3조 그루 넘게 있다는 연구 결과를 9월 2일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예측모형을 만들기 위해 위성사진과 슈퍼컴퓨터, 그리고 숲에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현수선이다?사람들은 한옥의 처마허리가 ‘현수선’이라 아름답다고 한다. 현수선은 실의 양 끝을 잡고 실을 늘어뜨렸을 때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곡선이다.하지만 실제로 재보면 현수선과는 다를 때가 더 많다. 하나의 방정식으로 표현하는 게 불가능할 정도로 집집마다 제각각이다. ... ...
- [생활] 메럴 카르호프 솔솔 부는 바람으로, 술술 작품 만들다 !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작품이 눈길을 끄는 또 다른 이유는 바로 ‘실’에 있다. 은은하면서 알록달록한 실의 색감이 특히 매력적이다. 그런데 거기에는 다 이유가 있다. 실도 자연에서 얻은 재료로 염색하기 때문이다. 카르호프는 주로 자연 건조 방식으로 실을 염색하는데, 말리는 시간을 꼼꼼히 기록해 같은 계열의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등 현실을 가상 속으로 넣는 작업을 계속 진행할 계획이다.내 동작 따라하는 가상의 나현실의 사용자 정보를 가상현실 안으로 넣어주는 장비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동작인식 장비 키넥트(Kinect)가 있다. 키넥트는 오큘러스 리프트와 함께 가상현실을 만드는 ... ...
- [생활] 진실과 거짓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믿기 때문이다.병원 이사진이 실험에 반대하면서 지킬 박사의 꿈은 위기에 처한다. 실의에 빠진 지킬 박사는 마침내 스스로를 실험대상으로 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 바로 이 순간 누구에게나 익숙한 그 노래, ‘지금 이 순간’이 흘러나온다.그러나 지킬 박사의 용기는 비극으로 이어진다.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한다.오른쪽 사진은 뜨개질로 만든 쌍곡면 치마와 클라인 병이다. 색깔 별 실의 양이나 놓이는 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한 채로 꿰었던 실을 풀어 모양을 바꾸고 이를 다시 연결해 만들었다. 이들은 서로 위상동형이다. 뜨개질로 찾은 토러스 매듭 알고리즘뜨개질과 가장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 연구 ... ...
- 도전! 오디션 스타 음치, 박치도 깜짝 놀랄 노래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꿈꾸며 참가한 각종 노래 오디션에서 하나도 남김없이 몽땅~! 떨어져 버린 거다. 실의에 빠진 나날도 어언 1년, 이제 더 이상의 실패는 싫다. 에 긴급 SOS를 쳐서 내로라하는 오디션 심사위원들 앞에서 모의 오디션을 보기로 했다. 드디어 대망의 모의 오디션 날. “그럼 지금부터 ...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클립을 서로 연결하여 정사면체 모양을 만든다.❸ 찰흙을 둥글게 뭉쳐 추를 만든다.❹ 긴 실의 한쪽 끝에 추를 매단다.❺ 추를 알루미늄 포일로 감싸고 캐릭터 도면을 각각 붙인다.❻ 정사면체 중심에 실을 단다. 바닥에서 살짝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에 추가 오도록 주의.❼ 진자가 지구판의 중심에 ... ...
- [독자탐방] 멀티스케일 설계 창의연구실 컴퓨터, 화가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일명 변분미술(Variational Art)이라고 한다. 변분미술은 서울대 멀티스케일 설계 창의연구실의 김윤영 교수님이 개척한 분야로, 수학과, 공학, 미술의 합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김윤영 교수님은 원래 자동차나 비행기의 설계를 연구하는 공학자다. 어떻게 변분미술이 탄생하게 된 걸까?"저는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