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안간과 함께하는 AI 로봇, 상용화는 언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인간을 돕는 AI 로봇은 2000년대 초반부터 개발돼 왔지만, 상용화까지 이어지기가 쉽지 않았다. 인간을 도울 AI 로봇의 상용화 상태를 신호등으로 표시했다.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영화 속에서 봤던 로봇과 공존하는 미래 사회를 맞이할 준비를 해야 한다. 우리의 행복과 안전한 삶을 위해, 로봇기술 개발에 따른 새로운 법과 인증 등 규제도 빠르게 발맞춰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로봇윤리헌장에 대한 본격적인 공론화가 필요하다. 로봇이 어떻게 설계제작활용돼야 할지, ...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수학자들이 응용을 염두에 두고 구 쌓기 문제를 고찰하는 것은 아닐 겁니다. 지난 400년 동안 수학자들은 대포알에서 시작된 구 쌓기 문제를 일반화와 추상화를 통해 수십 차원을 넘나드는 수학적 통찰로 확장했습니다. 그리고 응용 과학자들은 이 통찰을 현실에 대입해 실험으로 증명하고 새로운 ... ...
-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큰지 감도 안 오는 이 숫자는 현재까지 발견한 소수 중 가장 큰 소수다. 무려 2486만 2048자리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크기로, 읽는 데만 서너 달이 걸리며, A4 용지 한 장에 숫자가 4만 4000개 들어가도록 글자 크기를 작게 인쇄해도 무려 565쪽의 책이 나오는 숫자다. 소수니까 어떤 수학자가 찾았겠거니 ... ...
- [신의 책] 선택의 순간을 설명하는 몬티 홀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다른 경우도 많지요. 그럴수록 정확하고 객관적인 표현이 중요해요. 그래야 지금 같은 사안을 이야기하는 것이 맞는지, 어떤 부분에 집중하고 해결해야 하는지 파악할 수 있거든요. 물론 다른 사람들에게 정확한 표현을 바라기보다는 자신이 먼저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표현을 하면 좋겠지요. 이런 ...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로봇이 많이 쓰일 것”이라면서 “국내 기술력을 통해 4족보행 로봇을 만드려는 노력은 안보 차원에서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기술 유출을 우려해 산업 현장에서 중국 등 해외 4족보행 로봇을 사용하기보다 한국에서 생산된 로봇을 사용하려고 하는 시장의 니즈도 있습니다. 고스트로보틱스의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강한 열망이 설립의 큰 동력이 됐습니다. 즉 한국 과학정책 안에서 기초과학은 오랫동안 응용 및 개발을 위한 연구였다가, 언제부턴가는 노벨상을 받기 위한 연구로 다뤄진 것입니다. 혁신보다는 가시적인 성과를 위한 행보였습니다. 과학을 위한 과학기술정책이 필요하다 2009년 당시 미국 버락 ... ...
- 무인가게는 양심으로 운영돼요!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 무인 가게를 이용하는 친구들에게 조언을 해 준다면요? 평소에 ‘나쁜 짓은 하면 안 된다’라고 생각하는데, 무인 가게처럼 지켜보는 사람이 없는 곳에서도 마찬가지인 것 같아요. 우리 모두 나중에 후회하지 않도록 스스로 양심을 지키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선보였어요. 데이비드 킹 박사는 “이 로봇은 환자가 쓰러진 장소에 도착하고 나서 20분 안에 상태를 파악한 뒤 필요한 대처를 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우리나라에도 있다! 우리나라 수학 강사 최경재 씨도 GIMPS에 참가해 20년 넘는 기간 동안 거대 소수 찾기에 몰입하고 있다. 최 씨가 소수에 처음 관심을 두게 된 건 1995년 학생들을 가르치면서부터다. 수학을 지나치게 어려워하는 학생이 많아, 조금이라도 수학이 재밌다는 사실을 알게 하려고 틈날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