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멸종
d라이브러리
"
절멸
"(으)로 총 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인공물들은 검토하고 환희의 기쁨속에서 웃어댈는지도 모른다. 그땐 우린 스스로를
절멸
시켜 쓰레기로 만들어버린 후일까?The word "garbage" may derive from the old French "garbe" for sheaf. Some people think it's from "garbelage" - removal of refuse.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나타냈다.빙기와 간빙기의 극심한 기후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한 동식물의 이동 발생
절멸
에 따라 생긴 화석군(群)은 빙하기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들이다. 또 심해저(深海底) 퇴적층에서 산출되는 유기물의 패각(貝殼)과 골질부(骨質部)도 빙하기의 신비를 밝히는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 ...
레이첼 칼슨 '고요한 봄'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곳곳에서의 환경오염의 참상을 보면 소름이 끼칠 지경이다. 특히 농약에 의한 새들의
절멸
상태에 이르러서는 새도 지저귀지 않는 침묵의 봄, 죽음의 봄의 무서움을 실감케 된다. 인간도 그 새들과 마찬가지로 멀지않아 저렇게 죽어갈 것이 아닌가?이런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심각성은 ... ...
수염고래, 멸종위기 벗어나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쉽다. 남획에 의해 고래수효가 격감한 금세기 초에 이 고래는 2천여마리로 줄어들어
절멸
위기에 몰렸다. 이 때문에 1967년부터 보호조치가 내려져 포획이 금지됐다.미국의 조사 결과 이 고래는 현재 2만2천여마리로 추산됐다. 최근 일본열도의 근해에서도 이 고래가 발견됐고 일본 수산청의 ... ...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수 없다. 또 한번 비슷한 유형의 충돌이 발생한다면 온 인류의 문명은 물론이고 전인류가
절멸
할 것임에 틀림없다.우리가 소행성들에 관해 파악할 수 있는 모든 것 그리고 그 이상을 발견코자하는 한가지 이유는 느긋한 마음으로 생각하기에는 너무 가깝게 소행성이 다가오고 있지 않은가를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전세계로 퍼져 나갔다는 것. 이 과정에서 유럽에서는 먼저 살고 있었던 네안데르탈인을
절멸
시켰거나 아니면 흡수했다는 얘기다.지역진화설은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는 각지역에 살던 앞선 인류로부터 독립적으로 진화했다고 본다. 유럽인은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동아시안인은 북경원인 ... ...
지구로부터 17만㎞ 떨어진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가장 큰 이유는 지구와의 충돌을 걱정하기 때문이다. 지금으로부터 6천5백만 전 공룡이
절멸
한 이유로 유력하게 손꼽히는 것도 소행성과 지구의 충돌이다. 지름이 10㎞ 이상인 소행성의 수는 10개이며 지구와 충돌할 확률은 1억년에 한번으로 계산된다. 1㎞ 이상은 1천개이며 충돌확률은 1백만년에 ... ...
기온변화가 세계사를 뒤바꾼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막대한 양의 알칼로이드(alkaloid)가 생산됐다. 바로 이 알칼로이드의 독소(毒素)가 공룡을
절멸
시켰다고 스웨인은 주장하고 있다. 이를테면 지금부터 7천만년 전인 백악기 말에 대형의 공룡을 소멸시키는데 알칼로이드가 크게 기여했다는것이다.대형 공룡은 다량의 풀을 소비하지 않으면 안되는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일어나 인류에게도 치명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우리 인간은 생물종의
절멸
을 철저히 막아야 한다. 또한 생물이 모든 종을 보존하고 생물의 다양성을 유지하도록 협조해야 한다. 이것은 자연파괴의 주범인 인류의 속죄의 길이 될 것이다. 아울러 생물자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 ...
치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결코 마라토너로 종목변경을 할 수 없는 동물계의 「칼 루이스」는 정정당당한 한판을 즐긴다.지상에서 가장 빠른 동물은 어느 동물일까. 자타가 공인 ... 과잉 개간은 치타는 물론이고 치타의 먹이인 블랙벅이나 엑시스사슴마저 한꺼번에
절멸
로 몰아가고 있어 보호대책이 시급한 상태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