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멸종
d라이브러리
"
절멸
"(으)로 총 115건 검색되었습니다.
고향 찾아가는 희귀한 말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고대엔 그곳에서 넓게 번식하였을 가능성도 높으나 현대에 접어들어 영구적으로
절멸
될 위기에 놓일 정도로 아주 적은 무리의 수로 감소했다. 그러다가 결국 한때 번창했던 펄저왈스키 말은 그 마지막 한마리가 1960년대에 야생환경에서 사라짐으로써 멸종되고 말았다.그러나 그 멸종은 완전하거나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쉽게 볼 수 있던 반딧불이나 논의 물장군이 극심한 환경공해로 이제 남한에서는
절멸
상태입니다. 확실하게 알 수는 없지만 북한이 유독성 농약을 많이 쓰지 않았다거나 공해배출정도가 낮으면 이런 자원들이 보존돼 있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일례로 남한에서는 이제 표본으로나 남아있는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밝혔다. 또 이 DNA를 유전공학적으로 재조합하는데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이 보고는 이미
절멸
된 고대 생물의 유전정보를 현생생물의 생체내에서 발현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위성에 존재할지도 모르는 동물의 유전자를 지구에 이식, 발현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 ...
동위원소 비율로 원산지 추정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자연보호 감시원으로 할용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그러나 코끼리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절멸
위기에 놓인 국가들은 전면적인 상아무역금지를 당연하게 생각한다. 지난해 7월 케냐의 모이 대통령은 3백만달러어치의 상아를 불에 태워버림으로써 불법적인 상아무역에 일대 경종을 울렸다. 짐바브웨의 한 ... ...
매머드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홍적세의 매머드다. 매머드는 공룡의
절멸
후 뒤를 이어 태어났다가 현세가 시작되면서
절멸
하였기 때문에 언제나 공룡보다는 상위지층에서 나타날 뿐이다.공룡의 멸종을 설명해주는 가장 영향력이 큰 학설은 혜성충돌설이다. 중생대 말기 약 6천5백만년 전에 어떤 혜성으로부터 떨어져나온 대규모 ... ...
파충류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恐龍時代)를 형성했던 것이다. 하지만 이들 대형 파충류는 중생대가 끝날 무렵에
절멸
하였다.신생대에 이르러 파충류는 왕위를 물려주게 되었다. 그때까지는 별로 눈에 띄지 않던 포유류에게 승자의 자리를 넘겨주게 된 것이다. 현재는 거북류 악어류 뱀류 도마뱀류 옛도마뱀류만이 파충류의 특성을 ... ...
두 사람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일어났을까 하는 의문이 나온다. 쉬운 답은 현대인의 우월한 기술이 네안데르탈인을
절멸
했다는 것이지만 피가 섞였을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오늘날 얻을 수 있는 증거로는 전혀 알 수가 없다.Two chief varieties of Homo sapiens have existed on Earth, and in December 1989, evidence ...
공룡의 죽음-열쇠가 되는 아미노산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그리고 다른 일부의 생명체도) 상당히 큰 운석이나 혜성이 지구와 충돌하는 바람에
절멸
했다는 학설이 10여년 전에 등장했다.일부의 학자들은 이 학설에 반대하며 그 대신 공룡을 죽인 것은 거대한 화산폭발의 작용이나 다른 기상이변의 시기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전반적으로 충돌설이 ... ...
1억5천만년 동안 지구를 지배한 공룡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일거에 나타남으로써 공룡이
절멸
했다고 주장한다. 또 공룡이 온혈성이었기 때문에
절멸
했다고도 하는데 이는 환경요인과 공룡 자체가 갖는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데 기초한 고찰이다. 지구물리학자들은 지구가 지자기의 세기가 '0'으로 떨어질 때 생물에 큰 변혁을 가져온다고 했다. ... ...
50만년전의 숨결 북경원인의 고향, 주구점을 보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화석인골 이외에도 1백11종에 달하는 동물화석이 발견되었다. 그중 30종은 이미
절멸
된 동물의 유골이다. 예컨대 지금은 북경 주변에 서식하지 않는 물소나 코뿔소의 뼈도 같은 층에서 나오고 있다. 또 고양이 뼈도 있는데, 그 크기를 통해 볼 때 덩치가 지금의 사자만 했던 것으로 보인다.당시의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