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상"(으)로 총 1,1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나는 무엇으로 이뤄져 있을까...더 위험한 과학책 외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풀어준다. 탐험은 인류의 본능이다 약 20만 년 전, 아프리카 대륙에서 등장한 인류의 조상은 대륙을 떠나 빠르게 중앙아시아,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시베리아나 대서양을 횡단하기도 했다. 이제는 지구를 넘어 대기권 밖으로 우주선을 쏘아올린다. 저자는 인류의 유전자 속에 탐험하고자 하는 ... ...
- 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코로나바이러스의 진짜 정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유발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doi: 10.1038/nm.3985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 아직 직접적인 조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학계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자 재조합 비율이 높은 특성을 가진 만큼, 사스 코로나바이러스가 돌연변이보다는 유전자 재조합으로 탄생했을 ... ...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특별했던 건 진화라는 개념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계통수의 정점에는 공통조상을 두고, 그 아래 종이 분화한 순서대로 그려나갔다. 새로 등장한 종은 나뭇가지가 새로 돋아난 것으로 그렸고, 멸종한 종은 그 자리에서 가지가 끊어진 것으로 그려졌다. 다윈이 그린 생명의 나무는 생명의 ... ...
- [별헤는수학] 시민의 힘으로 만든 은하 동물원, 갤럭시 주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별에 대한 사람의 관심이 크기 때문이죠! 오늘 소개할 ‘갤럭시 주’는 그 중에서도 ‘조상’ 격이라고 할 수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2007년에 시작해서 13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답니다.시민 천문학자의 도움으로 수십 편의 논문이 나왔고, 시민 천문학자의 이름이 붙은 천체도 있죠. 자, ...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보통난이도 | 아시안 게놈 분석 지난해 12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아시아의 64개 국가, 219개 민족, 1739명의 유전자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게재됐다. ... 추적한다. 과거의 역사가 현재 인류의 유전적 특성을 결정짓기 때문이다. 본인을 ‘조상 찾기의 달인’으로 표현한다. HLKIM@ntu.edu ... ...
- 엑소가 알고 보니 이세돌이었다고? 그래프로 보는 가요계 사재기 논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변할지 예측할 수 있어 유용하다.그래프를 증거로 음원 사재기 논란에 불을 지핀 ‘조상 격’ 곡인 닐로의 ‘지나오다’ 그래프를 예시로 살펴보자. 그래프에서 주황색 선은 트와이스의 ‘What is love?’,파란색 선은 고등래퍼에서 인기를 끈 김하온과 이병재의 곡 ‘바코드’, 초록색 선은 닐로의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20cm 정도 된다. 그렇다고 펭수의 키가 비현실적으로 크다고만은 할 수 없다. 펭귄의 조상 중에는 거구의 종이 있었다. 2014년 아르헨티나 라플라타박물관 연구팀은 남극 시모어섬에서 발견된 펭귄 화석을 분석해 약 3700만~4000만 년 전 살았던 거대한 펭귄(Palaeeudyptes klekowskii)의 키가 약 2m, 몸무게는 약 . ...
- [Go!Go!학자] 고고학자들도 속아 넘어간 희대의 사기극?!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그 증거라 생각했어요. 필트다운인은 고고학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유명해졌죠. 인류의 조상을 고향 뒷마당에서 찾은 영국 학자들의 콧대도 높아졌고요.그러나 40년 후, 과학자들의 실험으로 필트다운인 화석은 가짜임이 밝혀졌어요. 중세 인류의 두개골에 500년 전 오랑우탄의 턱뼈를 끼워 맞춘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까치가 좋아하는 음식은? 까치밥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이처럼 가지 끝에 남겨둔 열매를 ‘까치밥’이라고 불러요. 동물을 배려하는 조상들의 마음이 엿보이는 말이지요.산 높은 곳에도 까치밥이 있어요. 바로 지리산과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 주로 사는 ‘까치밥나무’예요. 까치와 같은 새들이 까치밥나무의 열매를 좋아해서 이런 이름을 갖게 됐지요. ... ...
- ‘배민 떡볶이 마스터즈’ 결선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기록은 오병(熬餠·볶은 떡)을 먹었다는 기록만 승정원일기에 남아있다”며 “어쩌면 조상들도 우리처럼 매콤한 고추장 떡볶이를 즐겼을 수 있다”고 말했다. 세상에서 가장 매운 고추는 떡볶이는 매운맛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캡사이신이 많이 들어있을수록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