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상"(으)로 총 1,1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조핸슨이 발견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화석의 별명에서 유래했다. 인류의 조상에 대해 알게 해 준 화석 루시처럼, 탐사선 루시도 태양계의 기원과 진화 과정을 관측하고 조사할 예정이다. 루시는 12년 동안 8개의 소행성을 탐사하게 된다. 이는 NASA가 지금껏 수행한 임무 가운데 가장 ... ...
- 역사가 된 실패, 과학자의 망한 연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위치, 기능 등을 주로 살폈다. 예를 들어 현대 진화학에서는 같은 문(phylum)에 속하면 공통 조상에서 유래했다고 보는데, 신체기관의 해부학적 특징을 광범위하게 비교·분석한 그의 업적은 진화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1965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프랑스의 생물학자 자크 모노가 “퀴비에의 업적 ...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반언셜체를 바탕으로 탄생한 ‘카롤링거 소문자’였다. 지금 쓰고 있는 소문자의 조상격인 글꼴이다. 활자 시대에도 글꼴은 펜을 모방하다샤를마뉴 제국의 지배력이 감소하면서 지역마다 독특한 글꼴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두껍고 화려한 모양의 글꼴인 ‘블랙레터(Blackletter)’도 이 시기에 ... ...
- [과동키즈] 이제는 없는 얼굴을 위하여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아니 어쩌면, 말로 설명할 수 없던 것을 설명하는 언어라는 점에서 과학과 예술은 공통 조상을 공유하는지도 모른다. 언뜻 보면 판이한 닭과 티라노사우루스가 알고 보면 같은 분류군에 속하는 것처럼 말이다 ... ...
- 반려동물에 채식 권하면 안 되는 이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출현했으나, 개는 4만 년 동안 인간 곁에 살면서 인간이 주는 음식을 먹고 살았다.개의 조상인 늑대는 주로 고기를 먹지만 동물의 알, 야생 과일, 풀도 함께 섭취해 부족한 영양분을 채운다. 늑대의 후손답게 개 또한 잡식성 동물로 식물을 소화할 수 있다. 단백질 최소요구량과 필수아미노산만 ... ...
- [한페이지 뉴스] 독사 어금니의 치명적인 진화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아닌 뱀에서도, 그리고 독샘과 연결되지 않은 이빨에서도 발견됐다. 뱀 계통의 오랜 조상인 화석 뱀, 유룽구르 속(Yurlunggur)에서도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를 종합해 플리시덴틴 구조가 뱀의 진화 과정 중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모든 뱀 계통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으로 자리잡았다고 주장했다 ... ...
- [이슈] 네안데르탈인이 인간보다 먼저 숫자를 알았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더 가까웠지요. 과학자들은 지금과 가장 모습이 비슷한 ‘호모 사피엔스’를 인간의 조상으로 보고 있어요.네안데르탈인은 이런 호모 사피엔스와 닮은 점이 많은 종이에요. 네안데르탈인은 호모 사피엔스처럼 뒷다리만을 사용해 등을 꼿꼿하게 세우고 걸었으며, 호모 사피엔스보다 머리가 컸다고 ... ...
- 집사 길들이려면 집사 말 정도는 알아야옹~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꺼내기 어려운 곳에 있을 때 개는 인간을 바라보며 해결책을 찾는데, 이런 모습은 개의 조상이라 여겨지는 늑대에게선 쉽게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사라 마샬 페시니 오스트리아 빈대 수의대 선임연구원팀은 다 자란 늑대, 늑대연구시설에서 자란 개, 애완견, 그리고 주인 없이 길을 돌아다니는 개를 ... ...
- [가상인터뷰] 필요할 때만 “딱” 잠자리표 부목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아주 오래된 종으로 알려졌어. 3억 년 전 고생대에 살았던 ‘메가네우라’도 잠자리의 조상이지. 메가네우라는 날개를 다 펴면 길이 70cm가 넘을 정도로 컸대. 또 잠자리는 최고의 비행 능력자로 꼽히기도 해. 공중을 날면서 제자리에 멈춰 있을 수 있고, 거꾸로 매달릴 수도 있지. 심지어 실잠자리는 ...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갈라진 목(order) 수준에서 대표종 260종을 뽑아 표준유전체를 구축하고 있다. 공통조상에서 영장목, 고래목, 식육목 등으로 분화된 요인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김 교수는 “올 상반기 서울대 기초과학공동기기원에도 VGP 표준유전체를 구축할 수 있는 장비를 갖췄다”며 “VGP의 최종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