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손오공, 부처의 손바닥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속도예요. 다른
천체
에서 탈출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천체
의 질량이 클수록,
천체
의 지름이 작을수록 중력은 커지기 때문에 더 큰 탈출속도가 필요해요. 지구의 질량과 지름을 통해 계산한 지구 탈출속도는 초속 11.2km입니다. 이는 한 시간에 평균 60km를 달리는 자동차 속력보다 약 670배 빠른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빛나는 화성을 찾아보세요. 화성은 지구와의 거리에 따라 겉보기 밝기 차이가 매우 큰
천체
예요. 가장 가까울 때와 가장 멀 때의 거리가 7배나 차이나거든요. 올해 12월 1일은 화성이 지구와 가장 가까워지는 날로, 이 날을 놓치면 이렇게 밝은 화성을 보기까지 다시 2년 2개월을 기다려야 해요. 화성은 ... ...
[별별 우주 기네스] 인간이 발견한 최초의 소행성은?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22호
의견이 있어요. 지금은 태양계 바깥에서 날아온
천체
라는 의미로 ‘인터스텔라
천체
(성간
천체
)’라고 부르지요. 오우무아무아가 외계문명이 보낸 우주선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답니다 ... ...
[별별 우주기네스] 가장 큰 위성은?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20호
수학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처음 으로 관측했어요. 크기가 어마어마해서 그 당시의
천체
망원경으로도 보였던 거지요. 이후 연구를 통해 가니메데에 두꺼운 얼음과 바다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어요 우주기네스2. 가장 큰 인공위성 ‘국제우주정거장’ ‘이 사진은 인공위성으로 찍은 ... ...
[별별 우주 기네스] 최초로 지구 밖에 착륙한 우주탐사선은?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8호
없답니다. 하지만 앞으로도 꾸준히 우주를 탐구한다면, 언젠가 달 너머 저 멀리 있는
천체
까지 닿을 수 있지 않을까요? 용어설명기체★ 수소, 산소와 같이 일정한 모양과 부피를 갖고 있지 않은 상태의 물질이에요.기압★ 기체가 누르면서 생기는 압력을 말해요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7호
별자리랍니다. 자, 그럼 여기서 퀴즈! 다음 중 구상성단을 구성하는 반짝반짝 빛나는
천체
들은 무엇일까요?① 항성 ② 행성③ 위성 ④ 혜성⑤ 유성어과수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의 ‘어과동-와르르 선물터’에 비밀댓글로 정답을 남겨 주세요. 참가자 중 2명을 뽑아 과학동아천문대 ... ...
[냠냠! 어수잼] 달,달, 쟁반같이 둥근 달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7호
원을 반으로 자른 도형)의 지름을 중심으로회전시킨 모습이에요.궤도★ 행성 등이 다른
천체
의 주위를 돌면서 그리는 길을 말해요.타원★ 평면 위의 두 점에서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로 이뤄진 도형이에요. 아래 그림에서 빨간색과 초록색 선의 길이는 같지요. 평균★ 여러 수가 모여 있을 때 이 ... ...
[특집] 달나라 개척자의 필수품 지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7호
과학자들이 항상 주목하고 있죠. 이번 결과는 달뿐만 아니라 태양계에 암석이 있는
천체
라면 어디든 정확하게 지형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는 의미가 있답니다 ... ...
[화보] 우주의 하트를 따서 너에게 줄게!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6호
밤하늘을 올려다본 적 있나요?도시에서 맨눈으로 별이 우수수 떨어질 것만 같은 하늘을 보긴 쉽지 않지요. 잘 보이지 않는 밤하늘 너머 우주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카메라로 담은 아름다운 우주의 모습을 제30회
천체
사진공모전 수상작을 통해 확인하세요! ...
[가상 인터뷰] 목성은 왜 토성처럼 큰 고리가 없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6호
목성의 얇은 고리를 포착한 이미지를 공개했지요. 이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행성
천체
물리학과 스티븐 케인 교수가 목성에는 큰 고리가 없는 원인을 찾아내 발표했습니다. 목성에 큰 고리가 없는 원인이 뭐였나요?목성의 둘레를 따라 공전하는 큰 위성들인 ‘갈릴레이 위성’이 원인이었어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