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체"(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Space Math] 세밀한 제어 기술로 승부한다! 우주발사체 기업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먼 거리다. 거기에 도착하기까지 가슴 졸이는 제어를 받아야 한다. 그리고서도 다른 천체를 찍기 위해서 움직여야 하며, 그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기 위해 계속 제어를 받아야 한다. 우주선이나 위성을 지구로부터 우주로 보내기 위한 로켓 기술에서도 제어는 매우 중요하다. 로켓은 마냥 강력한 ... ...
- NIF에서 과학동아로 보낸 편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천체물리학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실험 플랫폼도 개발했습니다. 현재는 천체물리 현상과 관련된 플라즈마 물리와 극단적인 조건에서 물질을 연구하는 고에너지 밀도 물리학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NIF는 2009년, 많은 기대 속에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당시엔 좋은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 탐험대] 국제우주정거장과 지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8,000,000,000명의 사람이 살고 있어요. (2022년 기준) 용어 설명 공전★ 한 천체가 다른 천체의 주변을 일정한 간격으로 되풀이해서 도는 것을 말해요. 직선★ 꺾이거나 굽은 데 없이 곧게 뻗은 선이에요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별이 탄생하는 모습을 포착했습니다. 퀴즈!별이 탄생하기 전 먼지 구름에 덮여 있는 천체를 무엇이라고 부를까요?➊ 변광성 ➋ 주계열성 ➌ 원시성 ➍ 쌍성 ➎ 남한산성 팝콘플래닛 ‘플레이콘–놀이터–어과동–선물터’에 비밀댓글로 정답을 남겨 주세요. 참가자 중 2명을 ... ...
- [과학사] 1610년 1월 7일 갈릴레오 갈릴레이, 목성 위성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천동설’이 주류인 시기였어요. 하지만 갈릴레오가 목성의 위성을 찾으며 모든 천체가 지구를 중심으로 돈다는 천동설은 강력한 위기를 맞이합니다. 갈릴레오는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가 돈다는 지동설을 강력히 주장한 탓에 교황청과 정부로부터 종교 재판을 받는 등 탄압을 받았어요.갈릴레오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도는 물체를 근지구천체(NEO)로 분류하고, 750만 km 이내에서 돌며 지금 140m 이상의 대형 천체를 잠재적위험소행성(PHA)으로 분류해요.지금까지 인류가 파악한 잠재적위험소행성은 약 2000여 개이며, 그 중에서도 크기가 1km보다 큰 것은 약 1000개 미만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스콧 셰퍼드 박사팀은 ... ...
- [똥손 수학체험실] 오늘 무슨 요일이야? 새해 달력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7일을 기준으로 날(일)에 이름을 붙였어요. 그게 바로 ‘요일’이에요. 태양계의 천체인 태양, 달, 화성, 수성, 목성, 금성, 토성의 순서로 일, 월, 화, 수, 목, 금, 토요일이 되었답니다. 달력에서 올해의 첫 번째 날을 찾아볼까요? 올해는 2023년이고 첫 번째 달은 1월이에요. 1월의 첫 번째 날은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아바타의 새로운 터전도 골디락스 존일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주기적으로 호흡기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야 합니다. 이산화탄소가 높은 천체는 어떤 모습일까요? 수풀이 우거진 판도라의 모습과 비슷할까요? 영국의 기후과학자 리처드 베츠 박사는 2018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이산화탄소가 지구 생태계를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 ...
- [특집] 히파르코스에서 히파르코스까지 별 지도는 계속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올렸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히파르코스의 이름을 땄죠. 히파르코스 위성은 천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보다 정밀한 별 지도를 그릴 목적으로 발사한 최초의 관측기기예요. 히파르코스 위성은 발사 후 100만 개 이상의 별의 거리와 움직임을 정밀하게 측정했습니다. 별의 특성을 ... ...
- [광고] 방구석에서 우주 탐사를 떠나자! 디스커버리 100배 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베란다도 나가기 싫다고요? 그럴 땐, 따뜻한 방구석에서 ‘디스커버리-별자리 만들기, 천체 투영 프로젝터’를 활용해 불을 끄고 내 방을 우주로 만들어 보면 어떨까요? 겨울철 가장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대표 별자리는 오리온자리예요. 오리온자리의 별 중에서도 특히 두 별이 유난히 밝은데요.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