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일선
맨 앞
선두
최전면
전선
최전방
d라이브러리
"
최전선
"(으)로 총 158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우리나라 바다가 더워지고 있다. 특히 제주도를 중심으로 수온이 급격히 오르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1968년부터 2009년까지 한반 ... 극적인 위기로 겁낼 것이 아니라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특히 제주도는 아열대화의
최전선
에 있기 때문에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 ...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연구자들을 만나는 여행도 준비돼 있다. 이강영 건국대 교수의 ‘LHC-현대물리학의
최전선
(사이언스북스)’은 입자물리학의 역사를 개성 넘치는 인물을 중심으로 감칠맛 나게 소개하고 있다. 거대강입자가속기(LHC)로 대표되는 최신 연구 현황도 빠짐없이 다룬다. 외국 필자에 밀리지 않는 필력을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힉스 입자의 질량이 114.4GeV/c2보다 크다고 결론지었다(위 표).LEP 이후 힉스 연구의
최전선
은 미국 페르미연구소의 테바트론(Tevatron)이었다. 테바트론은 각각 0.98TeV(테라 전자볼트. 1Tev는1000GeV)의 양성자와 반양성자 빔을 정면 충돌시켜 1.96TeV의 충돌에너지를 얻는 충돌장치다. 테바트론과 같은 하드론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물들이며 신비롭고 처연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강렬한 색이 빚어낸 서해의
최전선
서해 5도에서는 북한 땅이 쉽게 눈에 들어온다. 가장 북쪽에 있는 백령도는 서울보다 평양에 더 가깝다. 황해도의 장산반도를 마주하고 있는 이곳에서는 우리나라가 아직 휴전 상태라는 사실을 새삼스럽게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근본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 맥그래스 교수의 주장이다.월터 실장은 “학문의 중심,
최전선
에 있는 사람들이 근본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루브르에 있는 C2RMF에서는 인문학과 자연과학, 공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함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빗대 ‘칸막이 전사’라고 불렀다.병사가 전쟁을 전쟁답게 의식하지 못하는 반면 오히려
최전선
과 가정은 더욱 가까워졌다. 로봇은 자기가 보는 장면을 모두 영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인터넷으로 세계가 연결된 지금 로봇이 촬영한 전투 영상을 일반인이 여과 없이 보게 되는 일도 흔하다. 싱어는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뇌 및 인지과학자 세바스찬 승(한국명 승현준) 교수는 인간처럼 생각하는 컴퓨터 연구의
최전선
에 있다. 그가 개발한 ‘신경컴퓨터’는 사람의 뇌 속 뉴런의 연결을 모방한형태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승 교수는 “스파게티처럼 얽혀 있는 신경세포의 연결선을 밝혀 내는 것이 현재 집중하고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대체 이런 레이저를 만들어 어디에 쓸까. 미래 레이저의
최전선
에 있는 연구 현장을 들여다보자.초기 우주의 비밀 밝혀줄 강력한 레이저고출력 레이저라고 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른 곳이 광주과학기술원에 있는 고등광기술연구소(APRI)이다. 2008년 극초단 광양자빔 ... ...
끝나지 않은 물리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책에는 별 볼일 없는 학생이었던 저자가 세계적인 과학자가 되기까지 여정과 생명과학의
최전선
에서 게놈 연구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치열하고 숨 막히는 사건들이 생생히 담겨 있다. 또한 게놈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고뇌와 딜레마도 엿볼 수 있다.색, 마술쇼에 빠져 볼까?김혜경·현종오 지음 | ... ...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닮고싶고 되고싶은 과학기술인’ 7명은 어떤 학창시절을 보냈을까.생체 모방연구의
최전선
에서 활약하고 있는 학술부분 수상자 남원우 교수는 일요일 아침마다 ‘우주소년 아톰’과 ‘마징가 제트’를 보느라 텔레비전에서 눈을 뗄 줄 모르던 소년이었다.그는 “과학자가 되기로 마음먹은 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