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일선
맨 앞
선두
최전면
전선
최전방
d라이브러리
"
최전선
"(으)로 총 158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인간게놈 정보의 해일에서 진주찾기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위해서는 컴퓨터와 생물학이 조화된 생물정보학이 필요하다. 다양한 유전체학 연구의
최전선
에서 생물정보학은 어떻게 이용되고 있을까.생물체의 유전정보는 DNA에 수록돼 있다. 영어는 26개의 알파벳을 사용해 의미를 전달하는데 비해 유전정보는 ACGT라는 4개 글자만을 사용한다. A(아데닌), C ... ...
필름 없는 영상의 세계 디지털 카메라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업으로 삼는 사람에게 카메라는 직업과 생활 그 자체가 될 것이고, 언제나 생생한 뉴스의
최전선
을 누비는 사진 기자에게 카메라는 순간의 역사를 포착하는 중요한 도구일 것이다.가마에서 며칠동안 구워낸 수천점의 도자기에서 한두점의 작품을 건지는 도예가의 마음처럼 셔터를 누르고 현상과 ... ...
티코 브라헤와 초신성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밖에서 일어나는 현상임을 밝혔다.어떻게 이것이 가능했을까. 우주의 신비를 밝히는
최전선
에는 천문대와 망원경이 있다. 인간이 지닌 시각을 훨씬 뛰어넘는 많은 빛을 모아 새로운 세계의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망원경이 사용되기 이전에 역사상 가장 뛰어난 관측 자료를 남긴 ... ...
한국형 SF영화 용가리 1998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영화이기 때문이다. 작품성을 떠나 반드시 눈으로 확인해야 할 한국 SF영화의 현주소이자
최전선
인 것이다.얼굴은 진돗개, 몸통은 티라노사우루스심형래 감독의 '용가리 1998'은 30년 전 김기덕 감독에 의해 만들어진 '대괴수 용가리'에 바탕을 둔 것이다. '대괴수 용가리'는 황무지나 다름없던 한국의 ... ...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바이러스는 변신의 명수다. 치료제를 개발했다 싶으면 재빠르게 새로운 형태로 스스로를 변환시킨다. 에이즈를 퇴치하지 못하는 큰 이유도 여기에 있다. 현단계 바이러스 치료책은 어디까지 개발됐을까. 최근 ‘바이러스’ 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은 CIH(일명 체르노빌 바이러스)나 트로이 목마와 ... ...
유전자 혁명과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잘라냈던 2차대전이 끝나자 이데올로기를 압세운 냉전이 다시 똬리를 튼다. 공교롭게도 동서냉전의
최전선
은 한국. 그때 시작된 분단은 50년에 걸쳐 한민족의 눈물을 자아내고 있다. 그러나 이 슬픔을 아는지 모르는지 과학의 수레바퀴는 생명복제의 비밀을 풀고 최초의 인공위성을 지구궤도에 ... ...
2. 현대 통일장이론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통일장이론이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초대칭성이론이 등장하면서 초끈이론, 초중력이론, 면이론 등이 제기된 것이다. 자연이 물질도 힘이 아닌 끈과 면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을까. 이론물리학의 궁극적 목표가 있다면 아마 그것은 통일장이론의 완성일 것이다. 통일장이론이란 한마디로 말 ... ...
과학으로 푸는 고대 전투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한다는 점이 제기되면서 2차 대전에는 ‘예비부대’의 중요성이 본격적으로 부각됐다.
최전선
에서 싸우는 부대를 두군데 정도로 설정하고 후방에 이를 지원하는 부대를 배치한다는 개념이었다. 세 부대를 지도상에서 이으면 역삼각형 구조를 이루는 형태다.현대에 들어서면서 사각형이나 일직선 ... ...
이별 준비하는 파이어니어 10호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최초로 빠져나간 우주선이었다. 2백50kg 남짓의 이 자그마한 우주선은 인류 우주 진출의
최전선
에서 목성 사진을 비롯해 우리가 이제까지 알지 못했던 수많은 우주 정보들을 보내왔다.그러나 이제 파이어니어 10호는 인류의 꿈을 담은채 우주 저편으로 사라지게 된다. 미항공우주국에서는 더 이상 ... ...
NASA는 어떤 조직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않기 때문이다. NASA는 냉전이 종식된 이후 미국의 꿈은 물론 인류의 꿈을 펼치기 위해
최전선
에 서 왔다. 그래서 예산이 계속 삭감되고 있는 NASA는 세계 각국에 공동으로 연구할 것을 제의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국제우주정거장 계획이다.NASA가 세워진 것은 1958년 10월 1일. 1957년 10월 4일에 옛소련이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