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판단"(으)로 총 3,0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문어가 다리로 맛을 보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생물과 물체들을 만져 미세한 화학물질 차이를 감지하고, 먹어도 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해. 물론 문어 빨판에는 물에 녹는 분자를 감지하는 수용체도 있단다. 연구팀은 다리가 10개 달린 오징어도 빨판에 문어와 비슷한 구조의 맛 수용체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 그럼 오징어도 빨판으로 ... ...
- [출동, 슈퍼M] 비만인지 아닌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수 있지요. 단, 어린이의 경우 같은 성별과 같은 나이인 또래와 비교해 비만인지 아닌지 판단해요. 비만인지 정확하게 알고 싶다면 측정계산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아요. 어른의 경우, 체질량지수에 따라 비만의 정도를 나누기도 해요. 체질량지수가 25~29.9인 경우 1단계 비만, 체질량지수가 30~34.9인 ...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수학동아 l2023년 10호
- 교신 기록 등을 통해 라이프니츠 역시 뉴턴과 독립적으로 미적분을 확립한 사람으로 판단합니다. 수학자 : 그렇다면 라이프니츠의 미적분학이 뉴턴의 미적분학과는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인문학자 : 라이프니츠가 뉴턴보다 미적분학에서 한발 앞서 나갔던 부분은 기호인데요. ...
- [특집] 2030년에 10만 개 쏟아진다? 배터리 재활용 풀어야 할 숙제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미래 수명을 좌우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재는 사용 후 배터리의 재사용, 재활용을 판단할 때 크게 잔존수명과 절연저항을 평가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배터리마다 사용 이력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이 두 가지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봅니다. 이는 건강검진에 비유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 ...
- [기획]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거쳐 귀 윗부분의 청각 피질에 도착한다. 청각 피질은 음의 높낮이, 크기, 길이 등을 판단하고, 여기서 우리는 음을 듣고 있다는 사실을 드디어 지각하기 시작한다. 이전까지 무의식적으로 처리되던 청각 신호가 마침내 의식의 영역으로 들어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청각 피질이 다른 뇌 부위와 ...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이라는 나비효과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이야기는 다시 러셀로 돌아옵니다. 용어 설명*중우정치 : 다수가 현명하지 못한 판단을 내려 이뤄지는 정치.*이그노라비무스 : ‘우리는 알지 못하고, 앞으로도 알 수 없을 것이다’라는 뜻의 라틴어인 이그노라무스 에트 이그노라비무스(Igmoramus et igmorbismus)에서 온 말로 인간이 무지하다는 ... ...
- [과학뉴스] 가르치지 않아도 알아서 문 여는 로봇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팔을 집어넣어 팔꿈치로 문을 마저 민다. 복잡한 동작을 가르치지 않았는데 스스로 판단하고 또 이어서 한다. 8월 16일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로봇 시스템 연구소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발표한 논문 속 로봇의 이야기다. doi: 10.1126/scirobotics.adg5014 보통 로봇은 동작과 움직임 ... ...
- [이달의 책] 인간처럼 생각하는 로봇과 살아야 한다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중요한 점은 현재 인간들이 인간과 인공지능을 나누는 핵심 요소로 간주하는 지성, 판단력이 휴봇과 인간은 아무 차이도 없다는 것이다. 당연하다. 애초에 우리와 똑같은 인간의 정신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연 인간은 휴봇을 차별하지 않고 인간과 동등한 존재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 미래의 ... ...
- IMO는 인생의 전환점! 수학 영재는 무슨 일을 할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데이터를 처리할 때 수학적 기반이 있으면 보다 효율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다고 판단해 안 연구원에게 함께 일하자고 제안했답니다. 몰로코에는 안 연구원을 포함해 총 4명의 IMO 출신이 있습니다. “IMO를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쌓인 내공이 대학교, 대학원 공부를 하는 데 큰 도움이 됐어요. 또 ... ...
- [통합과학 교과서] 손끝으로 읽는 점자책을 만들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영역이 있어요. 예전 경험과 수용체로부터 전해진 정보를 비교해 어떤 감각인지를 판단해 주죠. 이를 통해 방금 쓰다듬으려고 했던 것이 강아지의 털인지, 선인장의 가시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답니다. # 통합 과학 만들기햅틱 기술로 가상현실에서 생생한 촉감을 느낀다! 2018년 개봉한 스티븐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