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심야
한밤
미드나이트
야반
자시
자정
밤중
d라이브러리
"
한밤중
"(으)로 총 152건 검색되었습니다.
착한 머슴이 된 별 토사공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큰 머슴에게 일감을 맡길 사람은 없었다. 그래서 덩치 큰 머슴은 결국 크게 손해를 보고
한밤중
에 쫓기듯 도망쳐야 했다. 그러자 어디선가 나타났던 덩치 작은 일꾼은 작별인사를 고했다. 그러면서 "이 큰 소는 갖고 있어 봤자 부리지도 못할 테니 품삯 대신 내가 데리고 가겠소.”했다. 소를 끌고 ... ...
가을밤에 만나는 밤하늘의 기준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한다. 물론 태양빛 때문에 추분점을 볼 수는 없다. 대신 봄에 태양이 위치하는 춘분점을
한밤중
에 정남쪽에서 만날 수 있다. 춘분점과 추분점은 정확히 반대편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춘분점을 찾아보자.추분에 잘 보이는 춘분점 춘분점은 밤하늘에서 가상의 지점이지만 모든 별의 위치 기준이 되는 ... ...
사랑과 이별의 하늘강 은하수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딸과 함께 집으로 돌아가고 나서도 장인은 분이 안풀려 잠을 이루지 못했다. 그런데
한밤중
에 설핏 잠이 들었다가 깨었을 때 이상한 느낌이 들었다. 장인은 자기가 한데서 자고 있다고 느꼈던 것이다. 그 다음날에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이번엔 구멍난 지붕이 있는 초가집 안에서 자고 있는 것처럼 ... ...
관측 최적기 맞은 화성 100% 즐기기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붉은 빛 이외에 표면에 나타나는 다양한 모습을 만날 수 있다. 6월에는 자정을 전후한
한밤중
에 남쪽하늘을 보자. 지평선 위로 그려진 커다란 S자 모양인 전갈자리 왼쪽으로 밝게 빛나는 불그스름한 ‘별’이 눈에 띈다. 바로 붉은 행성 화성이다. 화성은 6월 22일 지구에 가장 가깝게 접근한다. 소형 ... ...
13년만에 성큼 다가온 붉은 행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번 소행성 팔라스가 지금 헤르쿨레스자리에서 빛나고 있다. 거리도 가장 가깝다. 6월에는
한밤중
에 하늘 높이 빛난다. 현재 9등급대의 밝기여서 맨눈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쌍안경을 사용하면 관측이 가능하다. 소행성을 쌍안경으로 보더라도 다른 별들과 똑같다. 그러므로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 ... ...
별은 매일 4분씩 일찍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의미한다.마찬가지로 ‘자정’이란 해가 지구를 중심으로 관측자의 반대편에 있는
한밤중
을 의미한다.여기서 별들이 매일 서쪽으로 1°씩 치우쳐 간다는 말은 별들이 매일 1°만큼 동쪽에서 일찍 떠오른다는 말과 같다. 즉 별들은 매일 약 4분씩 일찍 뜬다.따라서 문제(2)의 정답은 D, 문제(3)의 정답은 ... ...
발빠른 수성 5월 22일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맞았다.태양에서 가장 가깝고 빠르게 움직이는 행성은 수성이다. 화성이나 목성은
한밤중
에 하늘 높이 떠오르므로 쉽게 눈에 뜨이는데 반해, 수성이나 금성은 항상 초저녁이나 새벽에만 볼 수 있다. 내행성이기 때문이다. 특히나 수성은 태양 주변만을 움직이므로 다른 행성들과는 달리 매우 보기 ... ...
달은 매일 어떻게 뜨고 지나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이는 잘못된 고정 관념이다. 물론 해는 항상 낮에 뜨지만, 달은 새벽 오전 오후 저녁
한밤중
등 아무 때나 뜨고 진다. 예를 들어 눈썹 모양의 초승달은 아침에 해가 뜬 직후 바로 해를 따라 뜨기 때문에 해가 진 직후 서편 하늘에 잠깐 보이다 진다. 즉 초승달은 초저녁달인 것이다. 따라서 두 검객이 ... ...
반달과 벌이는 별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월령 10.3일로 반달을 조금 넘어선 상태다.성식이 일어나는 시간은 달이 중천 높이 떠오른
한밤중
이 조금 지난 때다. 새벽 1시 21분 쌍둥이자리 델타별은 달의 어두운 부분으로 잠입하기 시작해 그 모습이 사라진다. 새벽 2시 16분에는 반대편 방향인 달의 밝은 방향으로 나타난다. 달의 중앙 부근을 ... ...
하늘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서양 큰곰자리에는 우리네 별자리인 북두칠성과 삼태성이 숨어있다. 북두칠성은 국자 모양을 하는 탓에 누구에게나 친숙하다. 그런데 북두칠성 국자가 찌그러진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또한 우리의 삼태성은 오리온자리의 삼태성과 다르다는데….별자리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양치기들이 광야에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