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심야
한밤
미드나이트
야반
자시
자정
밤중
d라이브러리
"
한밤중
"(으)로 총 152건 검색되었습니다.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관측에 대단히 유리해진다.지구에서 볼 때 혜성은 태양의 정반대 편에 위치하므로
한밤중
에 하늘 높이 보이게 된다. 즉 고도가 높아진 혜성은 최상의 관측 조건을 제공한다. 하지만 단점도 있다. 혜성의 꼬리는 태양의 반대편으로 뻗기 때문에 지구에서 볼 때 혜성의 꼬리가 반대편인 우주 저편으로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한밤에 청어가 방귀를 뀌는 까닭은 무엇일까. 화장실 유머가 아니다. 노벨상 시즌에 맞춰 재미있으면서도 엽기적인 연구에 주는 ‘이그노벨상’ 중 생물학상을 받은 주제다. 이그노벨상은 모두 10개 분야로 올해로 14회째다.생물학상은 청어가 밤에 방귀를 뀜으로써 ‘적의 등장’을 동료에게 알 ... ...
금성, 태양의 품속에 잠기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1백22년 전인 1882년 12월 6일이었다. 하지만 그날 우리나라에서는 이 현상을 볼 수 없었다.
한밤중
에 일어났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었던 금성일면 통과 현상은 이보다 8년 전인 1874년 12월 9일에 있었다.특이하게도 금성일면 통과 현상은 1백여년 간격으로 연달아서 두번씩 나타난다. 올해 ... ...
지구가 선사한 어린이날 선물,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개기월식이고 새벽에 서쪽하늘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차이점이라면 지난번엔 월식이
한밤중
에 시작해 개기식이 끝날 즈음 달이 졌기 때문에 월식의 거의 전 과정을 볼 수 있었지만, 이번에는 새벽 무렵 시작해 달의 개기식이 한창일 때 달이 지므로 개기식을 끝까지 보기가 어렵다는 것이다.5월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그 이상한 소리의 주인공은 다름아닌 호랑지빠귀라는 이름의 새였다. 번식기 때 주로
한밤중
에 암수가 함께 다니며 높고 가느다란 소리를 내기 때문에 일명 귀신새라고도 불린다. 사람들에게는 이상하게 들리는 소리가 그들만의 짝짓기 신호였던 것이다.지구상에는 8천5백여종의 새가 있다.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1일 경우 1백의 5제급근인 2512배만큼 차이가 난다 이 때 등급의 기준을 정하기 위해
한밤중
일정한 고도에서 볼 수 있는 북극 부근의 별 몇 개를 이용한다 이것이 북극광도계열 이를 기준으로 하면 일등성의 밝기는 1촉광의 빛을 107km 떨어진 곳에서 보는 밝기와 같다 그러나 이보다 밝은 별은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살았고 훗날 죽은 후 밤하늘의 별자리가 됐다고 한다.가을이 되면 안드로메다자리는
한밤중
에 하늘 높이 떠오른다. 안드로메다자리는 페가수스자리의 북동쪽에 위치해 있다. 페가수스 사각형에서 보면 세번째 별인 안드로메다 베타별(β)을 지나 북쪽으로 다시 세번째 별인 누별(ν) 옆에 ... ...
주인 바뀐 렘브란트 작품 속 얼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오랫동안 교회로부터 금지돼 왔습니다. 16세기에 해부학을 혁신한 베살리우스는
한밤중
에 묘지에서 시체를 훔쳐야만 했습니다. 교황의 주치의였지만 그로서도 내놓고 해부를 하지 못했던 것이죠. 그러던 것이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이 의학에 도입되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데카르트는 ... ...
숲에서 오감의 즐거움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비비거나 울림판 등으로 소리를 내는데, 이것은 교미를 위한 일종의 생존 수단이다.또한
한밤중
에 울어대는 개구리 소리는 번식기에 수컷이 암컷을 부르는 소리다. 허파로 들이 쉰 공기를 울음주머니 속으로 내뱉거나 울음주머니 속의 공기를 허파로 들이쉴 때 성대가 진동하면서 소리를 내는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있는 두 행성 천왕성과 해왕성도 충의 자리를 지난다. 여름철에 외행성이 충이 되면,
한밤중
에 남쪽 하늘에 뜨고 거리도 가까워지므로 관측하기에 아주 좋다. 현재 물병자리에 있는 천왕성은 8월 25일 충을 맞이하는데 8월 30일 충이 되는 화성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놓인다. 이 무렵 천왕성은 화성에서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