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궤도"(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리] 물리학의 4가지 힘!!기사 l20220409
- 질량이 있는 물체들이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말합니다. 질량이 클수록, 물체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중력이 더 강해집니다. 궤도 운동(orbital motion)은 관성(참고로 알아두면 좋은 지식으로, 관성력과 원심력은 실제로 있는 힘이 아닙니다.^^)과 중력이 합쳐진 힘입니다. 2.전자기력(electromagnetic force) ...
- 솔라 오비터의 태양 탐구 생활기사 l20220328
- 현상으로 지구에 전파 및 자기 교란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출처:ESA 솔라 오비터는 앞으로 약 3년간 태양을 중심으로 큰 타원형의 궤도를 그리며 비행해 약 6개월마다 태양과 가장 가까운 지점에 도달할 예정입니다. 게다가 솔라 오비터는 ESA와 NASA의 공동 과제로 약 2조 830억 원이 투자됐습니다. 그 돈으로 10개의 과학 장비가 실 ...
- 제임스 웹 너는 누구니?기사 l20220322
- 날아가고 있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태양에서 오는 적외선을 영향울 줄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줄이기 때문에 지구에 궤도가 아니라 L2 리그랑주 점 거리에서 관찰을 합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적외선으로 관찰을 합니다. 먼 우주를 관찰하기 위해선 적외선 망원경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구성 1. 주 거울 ...
- 태양계 중 외계인이 있을 법한 곳 top5기사 l20220319
- 것으로 보입니다. 얼음결정이 엔켈라두스에서 분출 중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191209125800009 사실 엔켈라두스가 심한 타원 궤도를 가져 토성에 가깝게 다가서기도 하고 멀리 떨어지기도 하는데, 토성의 거대한 중력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열을 만들어 얼음층 밑에 바닷물이 얼지 않게 하여 생 ...
- 카이퍼 벨트와 왜소행성에 대해 알아보자!(2부)기사 l20220218
- 이상한 점은 다른 행성들처럼 같은 자리를 지나가지 않는다는 것이에요. 혹시 그러다가 소행성들과 부딪치는거 아니겠죠? 명왕성의 궤도는 기울어져 있어요. 어떤 과학자들은 이것이 얼마 전에 추락했던 운석 때문이라고 주장 하는 사람들도 있어요. (에리스) 2005년,천문학자 마이클 브라운이 그의 동료들 차드 트루질로, 데이빗 로비노 위츠와 함께 ...
- 카이퍼 벨트와 왜소행성의 대해 알아보자!(1부)기사 l20220125
- 얼어붙은 세레스 표면에서 물이 증발한 흔적을 발견했어요. 세레스의 하루는 지구의 9시간 입니다. 상당히 짧은 하루입니다. 하지만 궤도는 꽤 길어요. 태양을 도는데 지굼의 시간으로 4.6년이 걸려요. 세레스의 중력은 지구보다 작아요. 만약 여러분이 지구에서 100파운드라면, 세레스에서는 2.8파운드에 불과할 것이에요. 세레스에서라면 여러분은 ...
- 허블의 뒤를 이을 차세대 망원경, '제임스 웹 망원경'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20110
- 기대하고 있습니다. 발사된 '제임스 웹 망원경'은 현재(2022년 1월) 목적지를 향해 순항하고 있고, 망원경 거울 18장을 펼치고 목표 궤도를 향해 날아가고 있다고 합니다. 앞으로 지구와 달 거리의 4배인 150만Km를 날아 태양의 중력과 원심력이 0이 되는 라그랑주 L2지점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
- 우리나라 최초의 한국형 우주발사체,누리호의 여정기사 l20211207
- 그러나 3단에 탑재된 7톤급 액체 엔진이 조기 연소종료되어 위성 모사체는 궤도에 안착하지 못했습니다. 비록 위성 모사체는 궤도 안착에 실패했지만 절반의 성공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누리호는 앞으로 5차례 더 우주로 간다고 합니다. 2022년 5월 21일,누리호 발사 성공을 기원합니다. 11년 동안 누리호에 모든 힘을 쏟 ...
- 화성을 테라포밍하라!! - 테라포밍 마스기사 l20211122
- 데이모스와 포보스에 충돌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지름이 긴 쪽이 10km밖에 안 되는 데이모스는 궤도가 변해버려 화성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데이모스의 추락은 녹지 1000평을 싹쓸이 태워버렸고, 몇몇 기업들을 파산시켰다. 위기는 계속 될 것이다. 과연 세계정부는 화성 테라포밍을 이룰 수 있을까? 화성 ...
- KSR-I부터 누리호까지 28년의 세월의 역사적 장면기사 l20211023
- 쉽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결론은 '도전할 가치가 충분하다'였습니다. 우리 기술로 1.5톤급 실용위성을 700km의 지구저궤도에 발사 할 수 있는 3단 우주발사체를 완성해야 했죠. 이후 나로우주센터는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를 위한 대규모 시험장으로 바뀌어 나갔습니다. 6. 추진제 탱크 제작 성공 추진체 탱크. 얼마나 클 것 같으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