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궤도"(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왕성과 해왕성의 신비로운 모습기사 l20190218
- 하얀색 모자를 쓴 것 같습니다. 이 특이한 구름은 천왕성의 공전 궤도 때문에 생성됐습니다. 과학자들은 지구는 23.5도 정도의 궤도로 공전을 하지만, 천왕성은 공전할 때의 각이 무려 98도나 되어 공전할 때 북쪽만 태양의 빛을 받게 되어 구름이 생성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사진은 해왕성의 사진입니다. 이 행성도 아름답기 ...
-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를 타보고기사 l20180926
- 레일위를 떠서가는 꿈의 열차로서 진동과 소음이 적고 먼지가 없어 환경에 좋습니다. 도시형 자기부상열차는 바퀴없이 자체가 궤도를 감싸고 있어 추락할 위험이 없지만 철제차륜열차는 고정되어 있지 않아 쓰러질 위험이 있습니다. 아래는 인천공항1터미널역과 열차 입니다. 그리고 아래는 용유역입니다.인천공항역주변은 공항이고 장기주차장역은 주차장이고 파라다이 ...
- 과학동아 천문대에서 하는 우주과학자 캠프를 다녀왔습니다!기사 l20180816
- 여기서 또 퀴즈를 낼게요. 인공위성에는 두 가지의 궤도가 있는데요, 하나는 국제도(과학위성궤도), 또 하나는 정지괘도(방송 기상위성궤도)입니다. 이 중에서 우리 생활에 더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정지괘도입니다. 정지괘도는 지구를 가로로 돌고 있는데, 태양을 만날 수 있어서 태양전지판을 이용해서 전 ...
- 우주에서 쓰레기 청소한다.포스팅 l20180712
- 띠처럼 모여 있는 것이 고도 '2000Km'이하에서 지구 괘도를 도는 우주 쓰레기들 이예요. 우주 쓰레기는 1초당 7~11Km로 날아다니는데, 지구 궤도를 돌다보면 인공위성에 부딪칠 위험도 크지요. 두 기업은 2016년까지 호주 서부의 사막에 우주 쓰레기를 추척하고 감시하는 기지를 세울 예정이예요. 2014.9.15 18권 어린이과학동아 ...
- [과학동아천문대] 우주과학자가 되어보자! '우주과학자 직업체험' & 정월대보름 관측회공지사항 l20180222
- 2020년, 우리나라의 달 궤도선이 미국 캐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2021년에는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 발사체가 우주로 떠난다고 해요. 우주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직업도 인기가 많아지고 있답니다. 우주비행사 등 우주공학분야 과학자를 꿈꾸는 혹은 체험해보고 싶은 학생들을 위해 우주교육전문가와 함께하는 봄 방학 특집 ‘우주 ...
- 2018 무술년의 일월을 장식한 개기월식!기사 l20180131
- 1월 31일, 무술년의 시작을 축하라도 해주듯 슈퍼 블루 블러드문이 떴습니다. 슈퍼문이란 달이 지구 궤도에 가장 가깝게 근접하여 달이 커 보이는 현상이고, 블루문은 한 달에 두 번 보름달이 뜨는 현상, 그리고 블러드문은 찬란한 붉은색을 띄는 개기월식을 말합니다. 지난 1월 31일에는 오후 8시 48분부터 가려지기 시작해 어림잡아 1시간 30분동 ...
- 행성 인 것과 행성이 아닌 것기사 l20170501
- 논란이 계속 되자 국제 천문 연맹은 행성이 무엇인지 기준을 세웠습니다. 1. 태양주위를 돌 것 2. 충분히 크고 둥근 천체일 것 3. 자기의 궤도 영역 안에서는 다른 천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을 것. 하지만 이런 사실에도 불구하고 왜소행성 134340은 태양주위를 열심히 돌고 있습니다 ... ...
- 태양계 완벽 파해치기!기사 l20170424
- 가까운 행성은 수성이며 그 다음으로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이 태양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지구는 세 번째 궤도를 돌고 있으며 유일하게 생명체가 살고 있는 행성입니다. 다른 행성들도 태양 에너지를 받고 있지만 생명체가 살기 힘든 척박한 환경입니다. (출처 : Pixabay) 가장 빨리 공전하는 ...
- 추위를 뚫고 다녀온 과학동아천문대 슈퍼문 관측회기사 l20161219
- x (달의 중력은 지구의 6분의 1이다.) 2. 달은 지구로부터 점점 멀어진다. 정답: 0 3. 달은 동그라미 궤도로 돈다. 정답: x (달은 타원 궤도로 돈다.) 4. 달의 크기는 지구의 2분의 1이다. 정답: x (달의 크기는 지구의 4분의 1이다.) 5. 슈퍼문은 14개월에 한 번 정도 뜬다. 정답: 0 6 ...
- 냥이 대장님과 함께 별과 행성을 관측하다기사 l20160814
- 조종사 버즈 올드린이 타고 있었다. 7월 20일 암스트롱과 올드린은 달에 발을 딛은 최초의 인류가 되었다. 이때 당시 콜린스는 달의 궤도를 돌고 있었다. 당시 3명(닐 암스트롱, 마이콜 콜린스 그리고 버즈 올드린)중에서도 암스트롱만 알고 있는 이유는 이 3중에서 암스트롱이 가장 먼저 발을 디뎠기 때문이다. 그리고 올드린, 마지막으로 콜린스가 딛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