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지표"(으)로 총 8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비연구원추헌철 - 210828 - 1탐사기록 l20210828
- 동해안 강릉에서 만난 기후변화지표종 남방노랑나비입니다.한달 전 동해시에서도 만났는데, 강릉까지 내려왔네요.먹이식물인 비수리와 차풀이 많아 개체수도 제법 되었습니다. ...
- 풍선을 타고 우주여행을 한다고?!기사 l20210825
- 흔히 '하늘' 이라고 부르고 알고 있는 곳은 대류권이고, 대류권 바로 위에 있는 곳이 바로 '성층권' 이랍니다! 원래 '우주여행' 이란, 지표면에서 약 100km 높이인 곳을 넘어야 해요. 약 30km 까지 올라가는 성층권 우주여행은 이보다 훨씬 못미치기는 하죠. 그래도 지구의 곡면과 까만 우주, 더 가까이에서 별들을 볼 수 있기 때문에, ' ...
- 완도생물탐사대 - 210724 - 2탐사기록 l20210724
- 7월 20일 완도읍 가용리 편백숲공원에서 찍은 암끝검은표범나비2016년까지 기후변화지표종이었다가 해제되었다고 해요.눈이 크다는 걸 사진을 찍고 알았어요. ...
- 나비연구원추헌철 - 210724 - 1탐사기록 l20210724
- 한 관광숙박단지에 식재한 소철에서 기후변화지표 후보종 소철꼬리부전나비의 애벌레를 관찰했습니다.딱딱한 잎은 먹지 못했으나 새로 난 부드러운 잎을 주로 갉아먹는 것을 보았네요.군집하는 습성이 있는지 다른 소철에는 볼 수 없었고 딱 한그루에 이다수가 모여 자라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부전나비 애벌레의 공통적인 특징인 개미와 공생하는 습성도 볼 수 ...
- 온실효과기사 l20210618
- 추가:대책 1.온실 가스(green house gas)란? 온실 효과를 알려면 온실가스 먼저 알아야 합니다. 온실가스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기체로 지표면에서 우주로 발산하는 적외선 복사열을 흡수 또는 반사할 수 있는 기체입니다. 주된 온실가스로는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탄소가 있습니다. 온실가스 증가는 지구온난화와 온실 효과를 일으킵니다. ...
- 우리 생활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 [물]기사 l20210610
- 금속과의 신화이다. 4. 마지막으로, 물의 순환은 수권 안의 물이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를테면 대기, 토양의 물, 지표수, 지하수, 식물 사이에서 물은 이동한다. 오늘은 조금 어려운 내용을 담은 기사를 썼습니다. 이제 조금 물에 대해 이해되나요? 오늘 하루 좋게 보내길 바랄게요! 모두 빠아~이!! ... ...
- 조아조아 - 210505 - 1탐사기록 l20210505
- 와~ 지표종 나비 발견. 반갑다, 암끝검은표범나비야.기분 좋아 좋아. ...
- [개나리 미션] 우리 동네 개나리 탐사기록을 올려주세요!공지사항 l20210318
- '개화기'라고 한답니다! 개화기처럼 매년 반복되는 현상을 꾸준히 기록한 자료는 지구 환경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가 되지요. 3월 16일 화요일 동아사이언스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식물개화 소지현 연구원님의 강연이 진행되었어요. 개나리부터 벼꽃까지 봄부터 가을에 걸쳐 우리 주변에서 만날 수 있는 꽃의 종류를 배워보는 시간이었죠. 강연 ...
- 물에 저절로 뜨게되는 마법의 호수 '사해'기사 l20210314
- 위치해 있습니다. 여담으로 사해는 해발 -430.5m로 지표에서 가장 낮은 곳입니다. 오늘의 기사는 여기까지고, 가시기전에 추천과 댓글 잊지 마세요 ... ...
- 제2회 환경학술포럼에 가다!기사 l20210113
- 습지 범람에 따른 거미의 종다양성 변화 연구, 고리도롱뇽을 도심군과 산림군(서식지)으로 나눈 후 집단 유전학적으로 연구, 기후변화지표종 나비들을 통해 한반도 기후변화를 분석한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제가 발표를 보면서 정말 놀랐던 것은 하나의 주제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서 정말 피땀어린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인데요. 많은 수, 넓은 지역 분포,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