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지표"(으)로 총 822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아조아 - 210505 - 1탐사기록 l20210505
- 와~ 지표종 나비 발견. 반갑다, 암끝검은표범나비야.기분 좋아 좋아. ...
- [개나리 미션] 우리 동네 개나리 탐사기록을 올려주세요!공지사항 l20210318
- '개화기'라고 한답니다! 개화기처럼 매년 반복되는 현상을 꾸준히 기록한 자료는 지구 환경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가 되지요. 3월 16일 화요일 동아사이언스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식물개화 소지현 연구원님의 강연이 진행되었어요. 개나리부터 벼꽃까지 봄부터 가을에 걸쳐 우리 주변에서 만날 수 있는 꽃의 종류를 배워보는 시간이었죠. 강연 ...
- 물에 저절로 뜨게되는 마법의 호수 '사해'기사 l20210314
- 위치해 있습니다. 여담으로 사해는 해발 -430.5m로 지표에서 가장 낮은 곳입니다. 오늘의 기사는 여기까지고, 가시기전에 추천과 댓글 잊지 마세요 ... ...
- 제2회 환경학술포럼에 가다!기사 l20210113
- 습지 범람에 따른 거미의 종다양성 변화 연구, 고리도롱뇽을 도심군과 산림군(서식지)으로 나눈 후 집단 유전학적으로 연구, 기후변화지표종 나비들을 통해 한반도 기후변화를 분석한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제가 발표를 보면서 정말 놀랐던 것은 하나의 주제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서 정말 피땀어린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인데요. 많은 수, 넓은 지역 분포, ...
- 비행기구름은 왜 생기는 걸까??기사 l20210107
- 물인데요. 그럼 자세히 살펴볼까요? 지금은 겨울이지만 더운 여름날을 한번 생각해 보세요. 태양으로 부터 열을 받게 되면 지구의 지표면 가까이에 있는 공기가 데워져서 따뜻한 공기는 차가운 공기보다 가벼워 위로 상승하게 되는데요. 높이 올라갈수록 부피가 팽창하면서 기온이 낮아지기 때문에 하늘 높이 올라간 공기 중의 수증기는 응결해서 물방울로 변 ...
- (태양계 2탄)태양!! 짧지만 유익한 지식!!기사 l20201231
- 태양 에너지라고 합니다. 이 과정때문에 태양이 엄청난 빛을 냅니다. 태양의 표면 바깥 부분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지표면 바깥에 대기가 있는 것처럼 태양의 표면에도 대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광구(태양의 표면)가 너무 밝아서 평소에 보기는 힘듭니다. 그러나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개기 일식이 일어나면 지구에서 태양의 대기 ...
- 우리가 쉽게아는 태양과 행성을 더 파해쳐 보자!!!!!!!기사 l20201204
- 대기와 부딪혀, 빛을 내며 타는 것은 유성. 이런 유성이 한꺼번에 쏟아지면 유성우, 유성체가 대기를 통과하면서 모두 타지 않고 지표면에 떨어지면 운석이라고 부릅니다. 이처럼 운석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불립니다. 그럼 조금더 태양과 행성을 자세히 파해쳐 볼까요?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별은 우리가 엄마 배속에서 탄생하는 것처럼 별도 탄생을 ...
- 여러가지 구름을 알아보자!기사 l20201204
- 나타납니다. 햇무리나 달무리가 잘 생긴다고 하네요. 다음 고적운! 고적운은 중층운으로 양떼구름,높쎈구름 이라고도 합니다. 보통 지표면에서 2~7km에 높이에서 나타납니다. 다음은 고층운 입니다. 고층운은 높이 2~5km에 중층운 입니다. 높층구름,회색차일구름이라고도 합니다. 두꺼운 베일 모양이고 회색 또는 푸른빛을 띕니다. 다음 난층운! 난층 ...
- 궁금한게있어요탐사기록 l20201202
- 지표종이 뭔가요? ...
- 제 2회 환경학술포럼 참석기기사 l20201121
- 기존 관련 연구 자료 및 웹상에 공개된 자료를 검색, 취합하고 지사탐 및 시민과학풀씨 참가팀의 성과도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지표종 나바 7종 중 암끝검은표범나비와 남방노랑나비가 관찰기록의 69~75%를 차지했습니다. 여기까지가 시민과학풀씨의 연구 성과에 대한 발표였습니다. 이 뒤로는 특별세션으로 이어집니다. 특별세션 제 1번째 순서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