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뭉치
덩이
다발
타래
쌓아올린 더미
솜뭉치
사리
뉴스
"
덩어리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2/3' '-3/5' 전하...그래핀 속 전자의 기묘한 행동, 양자컴퓨터에 활용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행동하게 하는 데 영향을 준 것이다. 올해 2월 쥐룽 MIT 물리학과 교수팀은 그래핀
덩어리
에서 특정 배열의 그래핀 5장을 떼어내 질화붕소(BN)층 사이에 끼웠다. 그래핀과 질화붕소층은 둘 다 원자가 육각형 모양으로 연결된 패턴이지만 육각형 격자의 크기는 질화붕소가 약간 더 크다. 연구팀은 이런 ... ...
'25년 만의 최대 규모' 대만 지진…과학자들 "추가 지진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지질학과 교수는 "지진은 역단층에서 발생했는데 한 암석
덩어리
가 다른 암석
덩어리
에 수직으로 이동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지진 발생 지역에 복잡한 단층 네트워크가 있고 이번 파열로 40~50km 길이의 균열이 발생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앞으로 수십 차례의 여진이 대만을 더 흔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작용한 게 맥주이고 밀이나 쌀에 곰팡이를 번식시켜(이를 '띄운다'고 표현한다) 만든
덩어리
, 누룩을 찐 쌀에 넣어 곰팡이의 녹말분해효소로 녹말을 당으로 바꾼 뒤 효모가 넘겨받아 작업한 게 청주다. 누룩에 쓰이는 곰팡이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술을 빚을 때 누룩곰팡이(황국균)가 가장 널리 ... ...
피겨스케이팅 선수 '쿼드러플 점프' 가능한 과학적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3.31
신호를 받는다. 선수가 프로그램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때 이 네트워크는 동작을
덩어리
와 시퀀스로 구성해 더 빠른 기억과 근육 기억이 생기도록 촉진한다. 이 과정은 스케이터가 넘어지거나 넘어진 후에도 경기를 계속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피겨 스케이팅 선수의 뇌는 번개처럼 빠른 ... ...
'평형 상태' 찾아가는 보편 물리 법칙, 양자 수준에서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작은 방울로 나뉘어 있다가 가만히 두면 물은 물끼리 기름은 기름끼리 합쳐져 각자 큰
덩어리
가 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최 교수는 "업 스핀과 다운 스핀의 비율을 다르게 해도 비평형 현상이 수학적으로 보편적인 기준을 따랐다"며 "같은 스피너 응집체 스핀의 대칭성을 다르게 설정하자 입자 ... ...
소고기 품은 핑크빛 쌀, 지구를 지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3.23
떨어지고,별도의 기술과 첨가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래서 소 세포를 큰
덩어리
로 키우기 위해서는 세포가 붙어서 자랄 수 있는 ‘지지체’가 필요해요. 연구팀은 쌀이 아주 좋은 지지체가 될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쌀알에는 작은 구멍이 많아 세포가 자랄 공간이 많고 쌀 자체에 ... ...
"네안데르탈인, 혼합 접착 물질로 석기 손잡이 만들어 사용"
연합뉴스
l
2024.02.22
슈미트 교수는 액체 역청에 황토를 55% 첨가하자 주물러서 모양을 만들 수 있는 반죽
덩어리
가 됐다며 이 혼합물은 접착력이 좋아 석기에 잘 달라붙었지만, 손에는 붙지 않아 손잡이로 사용하기에 적합했다고 말했다. 또 현미경으로 르무스티에 석기의 마모 흔적 등을 조사한 결과, 이 혼합 접착 ... ...
귤을 많이 담으려면…귤포장에 숨은 수학
과학동아
l
2024.02.10
때도 유효합니다. 만약 친구에게 잘 깎은 수제 대포알 12알을 선물할 일이 생긴다면
덩어리
보다는 소시지 형태로 포장하는 게 포장지를 아끼는 방법이겠죠. 구 쌓기 문제는 선물 포장 말고도 훨씬 넓게 응용됩니다. 앞서 봤던 것처럼 구 쌓기 문제는 결정학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논의됐습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22만여 개에 이르는 초거대 복합체다. 리보솜은 큰 단위체와 작은 단위체로 부르는 두
덩어리
로 이뤄져 있다. 수상자 가운데 미국 예일대 토머스 스타이츠는 2000년 큰 단위체 구조를,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의 아다 요나스와 영국 MRC분자생물학연구소의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은 같은 해 작은 ... ...
잠을 자야 하는 이유 첫 직접 증거 발견…지친 뇌 '리셋'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2
'신경 눈사태'라고 한다. 실험 대상이 된 쥐에게선 잠에서 깨어난 직후 뇌의 신경세포
덩어리
곳곳에서 신경 눈사태 현상이 활발하게 발생했다.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잦아들었다.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도 더뎌진 것이다. 연구팀은 이같은 수면 전후 신경세포 활동의 변화로 미뤄봤을 때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