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시
멸시
냉대
경멸
업신여김
모멸
도외시
뉴스
"
무시
"(으)로 총 85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완전히 길을 잃어버린 ‘과학기술정책’
2023.09.13
수 있도록 해줄 것이라는 기대는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연구개발의 현장을
무시
한 억지일 뿐이다. 중국의 활발한 국제협력을 부러워하는 듯한 혁신본부장의 발언도 위험한 것이다. 중국의 국제협력은 2008년 당시 후진타오 주석이 밀어붙이기 시작한 ‘천인(千人)계획’의 결과다. 다른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그러나 유럽의 산부인과 의사들은 이를
무시
했고 제멜바이스는 자신의 주장이
무시
당하자 성격도 변해 갔다. 친구들은 1865년에 그를 정신병 환자 수용소로 보냈고 불과 2주일만에 손가락 상처에 의한 봉와직염이 패혈증으로 발전하는 바람에 사망하고 말았다. 한편 1960년부터 ... ...
고양이는 액체일까, 고체일까
과학동아
l
2023.09.09
고양이를 대상으로 이름을 부르며 실험해 고양이들이 자신의 이름을 알아 듣지만 단지
무시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doi: 10.1038/s41598-019-40616-4)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양이를 향한 일방적 사랑을 증명이나 하듯 고양이에 관한 수많은 연구가 나오고 있다. 이그노벨상에서도 마찬가지다. ... ...
공무원노조 "국가 R&D 예산 삭감은 국가 미래 잠식"
동아사이언스
l
2023.09.06
능률성과급을 축소하겠다는 등 각종 제도 개악을 예고했는데, 이는 명백히 과학기술을
무시
하고 연구 현장을 파괴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과학기술계 이외의 다른 분야에서도 R&D 예산 삭감이 거론되며 연구 현장이 뒤숭숭한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국공노는 "국가 미래를 잠식하는 ... ...
"일방적 과학기술 R&D예산 삭감, 연구 현장 파괴 행위"
동아사이언스
l
2023.09.05
구조조정하고 연구수당 및 능률성과급을 축소할 것을 예고했다"며 이를 "과학기술을
무시
하고 연구 현장을 파괴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정부에 연구 개발 예산의 즉각 원상회복, 제도 혁신 방안의 철회 등을 촉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5일 출범한 국가 과학기술 바로 세우기 과학기술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
2023.08.30
발표되는 논문에서도 심심치 않게 오류가 드러나기도 하는 과학기술의 냉혹한 현실도
무시
해버렸다. 상온 초전도체의 개발을 주장하는 두 편의 서로 다른 원고가 동시에 발표되는 ‘비정상’은 언론이 결코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되는 심각한 사안이었다. 개발에 참여했던 연구진이 서로 다른 ... ...
출연연 주요 R&D 예산 대폭 삭감 예상…우려와 비판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3.08.14
연구기관도 있다"며 "연구개발 예산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보장한 법과 절차들은 깡그리
무시
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과기부는 이번 예산 조정을 통해 효율적인 R&D 지원체계를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종호 과기부 장관은 전날 언론 인터뷰에서 "그동안 연구개발에서 비효율적인 부분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호주 생태계 지키려면 원주민 지식 동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8.13
이러한 권리가 박탈됐다”고 지적했다. 원주민들은 땅을 관리하는 지혜가 있었지만 이를
무시
한 유럽 이주자들로 인해 생물 다양성이 상실되고 산불, 홍수, 해양 생태계 파괴 등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데이비드 M.J.S 보먼 태즈메이니아대 자연과학대 교수 연구팀은 이번 호를 통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항생제 시대가 열리자 서구권에서 파지요법이 자취를 감춘 반면 서구 과학 성과를 애써
무시
한 소련은 파지요법에 계속 매달렸고 그 결과 오늘날에도 구소련의 몇몇 나라에서 파지요법이 쓰이고 있다. 특히 엘리아바가 터를 닦은 조지아가 발달해 있어 매년 세계에서 불치의 세균성 질환을 앓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은 ‘과학’
2023.08.01
치명적인 독이 된다. ‘용량(用量)이 독(毒)을 만든다’는 파라셀수스의 교훈을 함부로
무시
해서는 안 된다. ‘과학’이 혼란스럽고 복잡한 세상에서 우리의 안전과 정체성을 지켜주는 유일한 ‘희미한 등불’이라는 칼 세이건의 교훈은 후쿠시마 오염수의 처리‧희석‧방류에도 확실하게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