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뉴스
"
물리학
"(으)로 총 2,135건 검색되었습니다.
AI분야 노벨상 수상자 "초지능AI 5~20년 내로 개발…통제력 걱정"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빠지는 상황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 AI 기계학습의 기초를 다진 공로로 올해 노벨
물리학
상을 받은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는 7일(현지시간) 스웨덴 왕립과학한림원에서 열린 물리·화학·경제학상 수상자 공동 기자회견에서 "최근 개발 속도를 보면 초지능(super-intelligence) 기술이 5~2 ... ...
[과기원NOW] KAIST, 바이오 경로 이미지 분석 AI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과정을 규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비평형 상태에서의 상전이 분석과 우주
물리학
및 레이저 핵융합 연구에서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이효상 뇌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최세영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 ...
김창영·백민경·조일주 교수, 과학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24.11.25
포함한 ‘2024과학언론상’ 수상자 15명(팀)을 선정해 25일 발표했다. 김 교수는 고체
물리학
의 전자구조 분야 대표적 연구자다. 지난해 상온 초전도체 논란 때 LK-99 검증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과학적 팩트체크와 언론 소통에 이바지했다. 과학자로서 책임과 전문가 집단의 중요성을 알렸다는 데 ... ...
새 고주파 탐색 기술로 암흑물질 '액시온' 탐색 가능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5
로보틱스 분야로도 확장될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물리학
리뷰 레터스’에 22일 게재됐다. - doi.org/10.1103/PhysRevLett.133.21180 ... ...
[표지로 읽는 과학] 쥐의 뇌에선 무슨 일이…고해상도 3차원 이미징화
동아사이언스
l
2024.11.24
이미지가 실렸다. 시게아키 가나타니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의료생화학·생물
물리학
과 연구원 연구팀은 단일 세포 해상도 수준에서 쥐의 뇌 세포에 있는 전령RNA(mRNA)를 시각화한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에 21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조직 내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는 최신 기술인 ‘TRISCO’를 ... ...
16만 광년 떨어진 별 정밀 촬영…'별 죽음' 관측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24.11.22
별 'WOH G64'를 촬영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2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천문학과 천체
물리학
'에 공개했다. 우리은하 밖에 있는 별의 상세 이미지를 촬영한 건 처음이다. 태양은 지구와 가장 가까운 별(항성)로 오랜 시간 동안 상세히 특성을 연구해왔다. 앞서 과학자들은 우리은하에 있는 별 ... ...
시력교정 수술도 '개인맞춤형'으로…알콘 '퍼스널 아이즈' 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레이저는 펨토초 레이저보다 단면의 크기가 크고 레이저를 쏘는 단위도 길다. 2018년 노벨
물리학
상의 주인공이기도 한 펨토초 레이저는 차세대 레이저로 주목받았지만 시력교정술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기엔 시기상조라는 것이 일부 전문가들의 견해다. 류 원장은 "똑같은 각막을 깎아내는 데 ... ...
최강 로켓 스페이스X '스타십' 소음도 최강…재산 피해 입힐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24.11.19
재산 피해를 입힐 정도로 크다는 연구결과를 보도했다. 켄트 L. 지 미국 브리검영대
물리학
및 천문학부 교수팀이 지난달 13일(현지시간) 텍사스 남부 발사장에서 진행된 5번째 스타십 발사 실험 당시 주변에서 측정한 소리와 압력 측정값을 11월 15일 '미국 음향학회 저널'에 공개한 연구결과다. ... ...
[사이언스게시판] 표준연, 'K-퀀텀국제협력본부' 공식 지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INFN 워크숍 및 제2회 예미랩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중성미자
물리학
분야 최신 연구를 공유하고 비활성 중성미자 연구의 방향과 핵심 기술 개발에 대해 논의한다. 국내외 석학 11명이 연사로 참여한다. ■ 우주항공청과 국가정보원은 19일부터 이틀 동안 위성활용 ... ...
면역결핍 일으키는 '기계 생물학적 원인'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B세포 성숙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CD40과 CD40L이 담당하는 중요한 생물
물리학
적 역할을 밝혀냈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B세포 성숙과 항체 종류 전환에 있어 기계적 신호 전달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X-HIgM 증후군의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