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뉴스
"
물리학
"(으)로 총 2,161건 검색되었습니다.
韓 대표단,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서 전원 메달 획득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한국대표단 전원이 메달을 획득했다고 16일 밝혔다.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는
물리학
·화학·생명과학 분야에서 창의력과 탐구 능력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이론과 실험 문제를 출제한다. 총 51개국 304명의 학생이 이번 대회에 참가했다. 이론과 심층 이론 ... ...
IBS '상대론적 레이저과학 연구단' 단장에 김경택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이용해 양자전기역학 현상 연구를 필두로 빛과 물질의 극한 상호작용을 규명해 천체
물리학
·화학·생명·양자과학을 아우르는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노도영 IBS 원장은 “김 단장은 국내 아토초 과학 분야를 개척하고 고부가가치 초강력 레이저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에 크게 ... ...
2024 한국과학상에 윤주영·선웅, 한국공학상에 조형희·백종범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보편적 제약 조건을 체계적으로 규명했다. 입자물리, 우주론 등 고에너지 이론
물리학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기대된다. 최창혁 교수는 전기화학 분야에서 전극·전해질과 그 계면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고도의 분석 기술을 개발했다. 산소·이산화탄소 환원 등 주요 화학반응에 적용할 수 있을 ... ...
"우주, 기존 예측보다 빠르게 팽창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우주 팽창률보다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천체
물리학
저널’에 발표했다. 우주 팽창률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값은 허블상수다.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 우주가 팽창한다는 발견을 학계에 보고하면서 우주의 팽창 속도를 계산할 때 제시한 값이다. ... ...
'반물질 특급 수송 작전' 실행하는 입자
물리학
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전기장과 자기장을 조심스럽게 결합해야만 반물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입자
물리학
자인 스테판 울머 뒤셀도르프대 교수는 가디언을 통해 “반물질을 운반하기 위한 첫 여정에 가까워졌지만 반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은 여전히 매우 어렵다”며 “반물질을 통해 알아낼 수 있는 과학적 ... ...
"우주는 생명체가 관찰할 수 있게 형성"…우주론 한 축 부정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또한 우주의 여러 특성이 생명체 친화적으로 미세 조정됐기 때문이 아니라 기본 입자
물리학
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됐다는 이론에 힘을 실어준다. 액시온과 암흑 물질의 관계성에 대한 실험적 확인도 가까운 시일 내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세 번째 조건은 액시온의 존재와 함께 암흑물질의 ... ...
AI분야 노벨상 수상자 "초지능AI 5~20년 내로 개발…통제력 걱정"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빠지는 상황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 AI 기계학습의 기초를 다진 공로로 올해 노벨
물리학
상을 받은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는 7일(현지시간) 스웨덴 왕립과학한림원에서 열린 물리·화학·경제학상 수상자 공동 기자회견에서 "최근 개발 속도를 보면 초지능(super-intelligence) 기술이 5~2 ... ...
[과기원NOW] KAIST, 바이오 경로 이미지 분석 AI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과정을 규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비평형 상태에서의 상전이 분석과 우주
물리학
및 레이저 핵융합 연구에서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이효상 뇌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최세영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 ...
김창영·백민경·조일주 교수, 과학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24.11.25
포함한 ‘2024과학언론상’ 수상자 15명(팀)을 선정해 25일 발표했다. 김 교수는 고체
물리학
의 전자구조 분야 대표적 연구자다. 지난해 상온 초전도체 논란 때 LK-99 검증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과학적 팩트체크와 언론 소통에 이바지했다. 과학자로서 책임과 전문가 집단의 중요성을 알렸다는 데 ... ...
새 고주파 탐색 기술로 암흑물질 '액시온' 탐색 가능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5
로보틱스 분야로도 확장될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물리학
리뷰 레터스’에 22일 게재됐다. - doi.org/10.1103/PhysRevLett.133.21180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