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뉴스
"
바깥
"(으)로 총 986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치에 도전한 과학자들] ③정우성 "이공계 처우, 20년 간 바뀐 것 없어"
과학동아
l
2024.03.13
우습다가 서글프더라고요.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다른 게 없다는 사실 때문에요.
바깥
에서 소리쳐봐야 달라지는 게 없다는 충격은 정치와 과학기술계를 잇는 역할에서 벗어나 '플레이어'가 되겠다고 결심한 계기가 됐습니다." Q. 2023년부터 국민의힘 과학기술특별위원회(과기특위) 위원장 및 총선 ... ...
밤하늘 숨은 그림 찾기 '별자리'는 점선 잇기 놀이
2024.03.09
향해 초등학생 아들과 단둘이 떠났습니다. 주변이 어두워 정작 용암을 보진 못했지만
바깥
공기를 마시려고 고개를 든 순간 쏟아지는 별을 마주할 수 있었습니다. ● 별자리는 점선 잇기 놀이 태어나서 그렇게 별이 많은 하늘을 본 건 처음이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주변에 빛이라곤 없는 ... ...
"적색광으로 당뇨 환자 식후 혈당 떨어뜨린다"
연합뉴스
l
2024.02.23
끌어다 써 식후 혈당이 많이 올라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핵
바깥
에 있는 부분으로 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소' 역할을 수행하며 세포핵과는 별도로 독자적인 DNA를 지니고 있다. 미토콘드리아는 대사를 조절하지만, 햇빛이 미토콘드리아의 대사활동에 영향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
2024.02.21
몇 가닥을 감싼 칼슘 금속 음극재를 중심에 두고 그
바깥
에 젤 형태인 전해질이 그
바깥
에 탄소나노튜브가 양극재의 골격을 이루고 있는 구조다. 이 실을 짜서 천 형태로 만든 배터리는 용량이 커져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을 정도다. 웨어러블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는 말이다. 배터리의 기본 ... ...
홍합과 누에고치로 장기 출혈 막는다…새로운 지혈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7일 온라인 게재됐다. 연구팀은 안쪽에는 홍합 접착단백질이 포함된 상처 접착층이,
바깥
에는 누에 실크단백질로만 구성된 보호층이 결합한 지혈제를 개발했다. 홍합 접착 단백질에선 혈소판을 활성화하는 우수한 지혈 효과를 활용했다. 누에 실크단백질에는 메탄올 증기를 사용해 2차 구조를 ... ...
올해부터 길거리에 배달용 자율주행 로봇이 달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2.10
일상 곳곳에 있어요. 하지만 모두 실내에서만 운행되던 로봇입니다. 그런데 올해부턴
바깥
에서도 로봇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 자율주행 로봇, 도보를 걷다 길에서 주행중인 로봇. 뉴빌리티 제공 ● 보행자가 된 로봇 올해부터 도로에서 걸어다니는 로봇을 볼 수 있어요. 2023년 1 ... ...
나무 많은 곳 걸으면 뇌 활동 개선…"인간은 자연 사랑하도록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2.09
자연 환경에서의 걷기 활동이 두뇌 활동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monkeybusinessimages/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설처럼 긴 연휴가 끝나면 명절증후군이 찾아온다. 주 ... 푸른 공간이 있으니 설연휴 동안 집에서 휴식만 취하기보다는 자연친화적인 공간에서
바깥
활동을 할 것이 권장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중심에 중성자별을 남긴다. 이때 중력이 극단적으로 높아지며 원자핵을 이루는 양성자가
바깥
의 전자와 합쳐져 중성자로 바뀌며 기존 원자핵의 중성자와 함께 초고밀도 별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태양보다 아주 무거운 별에서야 최후에 무한한 밀도의 한 점으로 붕괴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그 결과로 ... ...
'지동설' 확립한 과학자들…"세상이 너를 중심으로 돌지 않아도 괜찮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2.03
다른 것을 중심으로 돌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알아냈어요. 또한 갈릴레이는 우리가
바깥
상황을 전혀 알지 못한다면 우리가 있는 곳이 멈춰 있는지 아니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지 구별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2월 1일,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세상이 너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국내 연구진, 뇌속 노폐물 청소 경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7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를 통해 두개골을 열지 않아도 뼈
바깥
에서 기계 자극을 통해 뇌척수액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 결과를 실제 노화 및 신경퇴행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지속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