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뉴스
"
바깥
"(으)로 총 998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속에 난 상처는 왜 흉터가 안생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중개의학'에 공개됐다. 피부에 상처가 나면 보통 스스로 복구된다. 피부의 가장
바깥
층인 표피만 손상된 경우는 흉터가 거의 남지 않지만 상처가 깊어 내부의 진피까지 손상되면 피부가 원래대로 재생되지 못하기도 한다. 흉터 조직은 정상 피부와 다르게 피부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콜라겐이 ... ...
양파껍질처럼 한겹씩…피부·혈관 한번에 찍는 손바닥 크기 레이저 센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6.25
1m) 이하 고해상도 영상을 얻었다. 사람 손바닥에 적용했을 땐 혈관 분포와 피부 가장
바깥
층인 표피, 그 아래 진피, 피하 층까지 각 층이 마치 양파껍질을 한 겹씩 벗겨낸 듯 또렷하게 구분돼 관찰됐다. 김철홍 교수는 “고가의 초음파 장비 없이도 고해상도 생체 영상을 얻을 수 있게 ... ...
한·NASA 개발 '태양 코로나그래프', 코로나 온도·속도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11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CODEX는 지상 관측이 까다로운 태양 대기의 가장
바깥
영역인 코로나 형상을 촬영할 뿐 아니라 그동안 제한적으로만 측정된 코로나 온도, 속도를 하나의 기기에서 동시에 파악해 2차원 영상으로 구현하는 장비다. 지난해 11월 5일 미국 플로리다주 ... ...
직각 소용돌이? '피카소 달팽이'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6.07
소용돌이 모양 등껍질 을 가지고 있어요. 그런데 A. 피카소의 등껍질은 소용돌이의
바깥
부분이 직각에 가깝게 꺾여 있습니다. 다른 달팽이한테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드문 형태입니다. A. 피카소는 석회암 틈에 잘 들어가는데 석회암 의 각진 틈새로 쉽게 이동하기 위한 모습으로 추정됩니다. ... ...
뇌 속 노폐물, 간편하게 배출하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05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됨을 발견했다. 이 집합림프관은 두개골 안쪽의 뇌척수액을
바깥
쪽으로 빼주는 펌프 역할을 한다. 노화된 쥐의 얼굴 피부 아래 집합림프관에 정밀한 저강도의 기계적 자극을 준 결과 뇌척수액 배출이 두세 배가량 늘어남을 확인했다. 영장류에서 관찰된 뇌척수액 배출 ... ...
소변 볼 때 몸이 부르르 떨리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5.31
나타납니다. 소변을 본 후 야외 화장실에 있을 때나 날씨가 추울 때 발생하기 쉬워요.
바깥
온도가 낮아 체온이 더 쉽게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소변을 많이 참았다가 배출하면 한 번에 많은 양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그만큼 체온 손실이 많이 일어나 떨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증상은 ... ...
[재생의료 최전선]② 기적의 항암제 'CAR-T' 한계 극복 도전하는 토종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5.30
카세트)으로 만들어 CAR-T 세포에 동시에 삽입하는 방식이다. 기존 치료법처럼 항체로
바깥
에서 수용체를 막는 것이 아닌 처음부터 T세포 안에서 해당 수용체들이 생기지 않도록 유전자 수준에서 차단하기 때문에 CAR-T 세포의 항암 기능이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 유전자 수준에서 조절되는 만큼 PD-1과 ... ...
"빈대, 인류 괴롭힌 첫 도시 해충"
동아사이언스
l
2025.05.28
6만년 전 네안데르탈인이 동굴에서
바깥
으로 나올 때 일부가 인류에 붙어 함께
바깥
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두 종류의 빈대 계통을 대상으로 추적 조사를 진행했다. 한 계통은 현재 박쥐에 기생하는 계통이고 또 다른 계통은 인간에 기생하는 계통이다. 두 ... ...
AI가 감시하는 배터리 공정… 연간 22억 절감
동아사이언스
l
2025.05.27
속도, 산성도(pH), 암모니아 농도 등을 조절해 니켈은 입자 안쪽에, 코발트와 망간은
바깥
쪽에 배치되도록 설계한 것이다. 니켈이 입자 내부에 자리 잡으면 용출 가능성이 낮아지고 구조적 안정성도 높아진다. 도메인 적응 AI 기술로 불량 탐지 성능도 대폭 끌어올렸다. 기존 AI는 실험실에서 학습한 ... ...
"우주는 지독한 악취부터 달콤한 향까지 나는 공간"
동아사이언스
l
2025.05.26
같다”며 “깊숙이 들어갈수록 냄새가 지독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목성의 가장
바깥
구름층은 암모니아 얼음으로 구성돼 있다. 바르세닐라 연구원에 따르면 암모니아 얼음층은 고양이 소변 냄새가 나며 황화암모늄으로 이뤄진 더 아래층은 썩은 달걀 냄새가 나고 마늘 냄새가 나는 층도 있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